로지컬 씽킹 - 맥킨지식 논리적 사고와 구성의 기술
데루야 하나코.오카다 게이코 지음, 김윤경 옮김, 현창혁 감수 / 비즈니스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지컬 씽킹'을 영문 그대로 보면 logical thinking 즉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방법’ 정도로 해석되겠습니다즉 논리적인 과정으로 사물을 판단하는 방법을 의미한다고 보겠습니다사실 로지컬 씽킹기법은 이 책의 부제가 맥킨지식 논리적 사고와 구성의 기술인 것처럼세계적인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에서 개발한 것으로 이미 수많은 세계적 기업 등에서 과제를 분명하게 알아내고 이에 대한 답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끝어낼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법이라고 합니다.

 

이 책은 현재 맥킨지에서 일하고 있는 현직 커뮤니케이션 에디터가 컨설팅 경험과 맥킨지의 인재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 매뉴얼을 바탕으로비즈니스맨들뿐만 아니라 일반인과 학생들에게도 로지컬 씽킹을 통해서 필수적인 논리 구조와 실전 로지컬 커뮤니케이션 업무 기술을 실제로 직접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입니다.

 

여기서 '로지컬 커뮤니케이션'이란 '논리적인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상대방을 설득하고자신이 생각한 반응을 상대방으로부터 끌어내는기술로 고객과의 상거래 상의 대화나 교섭상품 설명또는 조회에서의 지시나 보고 그리고 연락을 비롯한 일상 업무의 간단한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즉시 활용 가능하며 위력을 발휘한다고 합니다. '기술'이므로 훈련을 거듭하면 누구라도 습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책은 로지컬 씽킹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익혀나가도록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3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1부 글을 쓰거나 이야기하기 전에 알아야 할 기술은 논리적 전달자가 되기 위한 첫 단계로보고서 초안 작성 등의 예시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준비할 때 반드시 확인할 핵심 사항을 설명합니다

 

2부 논리적으로 사고를 정리하는 기술은 다양한 정보 가운데 과제 해결에 적합한 정보만을 추려 논리를 만드는 부품으로서 정리하는 단계입니다로지컬 씽킹의 핵심 기술인 주제나 영역 자체에 정통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결론을 상대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게 이야기에 심각한 중복이나 누락이 없도록 확인하는 기술인 MECE(이야기의 중복누락혼재를 없애는 기술)와 자료를 읽거나 상대의 말을 들으면서 결론과 중요한 핵심을 재빨리 정확하게 추출하는 기술인 So What?/Why So?(이야기의 비약을 없애는 기술)라는 두 가지 논리적으로 사고를 정리하는 기술을 알려 줍니다.

 

마지막 3부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기술은 앞에서 배운 So What?/Why So?와 MECE 등의 부품을 논리로 조립하는 논리적으로 구성하는 기술을 이야기 합니다논리의 구조를 정의하고비즈니스를 실천하는 데 유용한 두 가지 논리 유형인 병렬형과 해설형을 소개하고 집중 트레이닝을 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는 집중 트레이닝 문제가 제공되어서 직접 자신이 배운 내용을 테스트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이렇게 이 책에 나오는 설명을 배운 다음에 연습을 통해 마스터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또 이 책은 실용서답게 철저하게 현실 사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상사에게 구두 보고하거나 상사가 부하들에게 구두 지시를 내리거나 또는 프로젝트 팀의 프레젠테이션 상황 그리고 사내 동료에게 이메일 쓰는 경우 등 다양한 현실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습니다그래서 저처럼 맥킨지식 로지컬 씽킹을 쉽게 배우기를 원하는 분들이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