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나에게 미처 하지 못한 말 - 마음속에 새기고 싶은 인생의 키워드 20
정여울 지음, 이승원 사진 / arte(아르테)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여울 작가 책은 처음이다. 이름은 낯설지 않은데 그동안 인연이 없었다. 약력을 보니 그동안 쓴 책이 제법 된다. 에세이와 인문서를 주로 쓰나 보다. 이 책은 에세이다. 2013년에 나온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의 두 번째 이야기라고 한다. 40대 접어든 지은이가 자신의 30대를 정리하는 의미로 쓴 책이다. 지은이의 20대가 어땠는지 나는 모른다. 다만 30대에 결정적으로 달라진 마음가짐 세 가지를 보니 지은이의 20대도 대부분의 20대와 비슷했나 보다. '~해야 해'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몰아붙이고, 어둡고 아름답지 않은 내 모습은 내 것으로 인정하고 싶지 않고, 나 하나 챙기기도 벅차서 '우리'를 생각할 여력 따위는 없는 그런 20대. 그러다 30대에는 서툴고 불완전한 나도 있는 그대로 보듬어 안고, 자신의 가장 환한 면조차도 가장 어두운 면이 받쳐주었기에 빛날 수 있음을 깨닫고, 슬픔조차 검열하고 자신에게 회초리를 드는 자아를 달래고, 더 커다란 우리를 생각하는 마음이 생겼다(8쪽, 9쪽)니 숨통이 트이는 느낌이지 않았을까 싶다.


 그래서 그런가 책이 고백 같다. 누군가에게 마음을 전하는 고백이 아니라 '실은 내가 이랬어', '나 이렇게 살았다', '내가 그때 그랬지' 하는 고백 말이다. 취미로 첼로를 배우면서 처음으로 '재능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늘 칭찬을 듣는 제자'의 마음을 경험하며 '나를 아프게 하지 않는 스승'을 발견했다(34쪽)는 이야기도 그렇고, 박사학위를 받은 지은이가 글을 쓰기 위해 직장을 포기하자 자신보다 더 안타까워했다는 어머니와 있었던 이야기도 그렇고. 


 그러면서 지은이는 깨달았다. 감사는 당연하다고 믿었던 존재들에 스민 무한한 축복을 일깨워주고(49쪽), 상황이 바뀌어야 인생이 바뀌는 게 아니라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내 관점이 바뀌어야 진정으로 삶을 바꿀 수 있고(61쪽), 세상에서 가장 멋진 소식은 저 바깥에서 들려오지 않고 가장 아름다운 소식은 바로 내 안에서 들려온다는 것(81쪽)을. 그래서 책 제목이 [그때, 나에게 미처 하지 못한 말]인가 보다.


 지은이와 비슷한 상황이거나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공감이 많이 될 것 같다. '나 혼자만 이런 게 아니구나' 싶어서 위로가 되겠지. 나의 이야기가 나를 닮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