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랄라의 외출 - 나를 찾는 내면아이
김현정 글.그림 / 위즈앤비즈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처음 책 소개를 읽고 기대를 많이 했다. 작가의 내면아이를 상징하는 인형 랄라를 만나면서 경험한 치유의 과정을 그림과 글로 풀어냈다는 대목에
호기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치유에 그림과 내면아이 찾기 모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둘을 결합해 책을 냈다니 그 과정을 깊이 있게 세세히 풀어낼 줄
알았다. 표지의 그림도 참 마음에 들었다. 토끼인형을 앞에 내민 여자의 모습이 '이게 나예요'라고 말하는 것 같았으니까. 그런데 기대를 너무
많이 했나 보다. 훨씬 더 완성도 높은 책이 나올 수 있었을 거 같은데 이야기를 풀어내려다 만 듯한 내용이 아쉬웠다.
지은이 김현정은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도 출연한 배우라고 한다(드라마 나도 봤는데 어떤 역할이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 쉬는 동안
그림을 배웠고, 상담도 받으면서 자신만의 인형을 갖게 됐고, 그 인형에게 랄라라는 이름을 붙여줬다고 한다(이때 랄라는 작가의 내면아이의
형상이다). 이 과정을 거치며 지은이는 많은 위로도 받고 치유도 경험했다고 한다. 그 경험은 '배우화가 김현정의 그림토크'라는 글로 일간지에
실렸고 작가는 1년 넘게 글을 연재했다고 한다. 일간지에 연재한 글과 그림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만든 게 바로 [랄라의 외출]이다.
일간지 연재라는 게 지면 관계상 분량의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그래서 그런가 모든 글이 풀다가 마는 느낌이 든다. 일간지 연재야
분량의 제한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해도 이왕 책으로 낼 거 손을 좀 봐서 좀 더 깊게 이야기를 풀어 랄라로 상징되는 작가의 내면아이를 작가는
어떻게 만났고, 소통은 어떻게 했으며, 어떤 식으로 치유가 진행됐는지까지 다뤘으면 읽는 입장에서도 도움이 됐을 텐데 짧게 언급하고 지나가니 독자
입장에서는 아쉽기만 하다. 게다가 인쇄의 한계 같은데 작가가 그린 그림의 질감 같은 게 잘 살지 않아서 작가의 그림 설명이 마음으로 와닿지
않았다. 전통 기법을 썼고, 자수를 했고 등등의 설명이 나와서 그림과 작가의 설명을 대조해보며 제대로 느끼고 싶었는데 책의 그림만으로는 그걸
느낄 수가 없었다. 또 한 가지 책 중간중간에 나온 작가의 사진이다. 작가가 배우를 겸하기 때문에 외모가 뛰어난 건 알겠는데 책의 흐름과는 전혀
상관없이 작가의 커다란 얼굴이 사진이 중간중간 계속 몇 장에 걸쳐 나오니까 책의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었다. 차라리 그 분량을 글에 할애해 내용을
좀 더 늘렸으면 좋았을 것을. 기대했던 책이라 받자마자 읽었는데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