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딕 라운지
박성일 지음 / 시드페이퍼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아마 이 지구상에 한국사람의 발바닥이 찍히지 않은 곳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나는 단언한다. 처음 해외여행이 자유화되었을 때, 주요 여행지는 미국과 유럽이었다. 그러다 그곳에서 너무 많은 한국어가 들리기 시작하자 여행자들은 다른 곳을 찾기 시작했다. 좀 더 낯선 곳, 좀 더 외진 곳, 좀 더 새로운 곳. 그러면서 여행서도 쏟아졌다. 처음엔 여행안내서 정도이더니 여행 에세이, 쇼핑 안내서, 카페 안내서, 특별한 숙소 안내서까지 '돈은 있지만 시간이 없는 직딩들'이라면 가보지 않고도 아는 척 할 수 있을 만큼의 책이 쏟아졌다.
 

 여기 한 권의 여행 에세이가 있다. 글 쓰고 사진 찍은 박성일은 작곡자이자 음반 및 공연 프로듀서다. [네 멋대로 해라], [눈의 여왕]을 비롯해 최근에는 [성균관 스캔들]의 OST를 프로듀스했다. 월드비전의 재능기부자로 떠나는 봉사여행까지 포함해 여행하기 위해 일한다고 말할 정도로 여행을 사랑하는 그가 북유럽 2개국 2도시(핀란드의 헬싱키와 스웨덴의 스톡홀롬)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 감성을 기록한 결과물이다. 여행의 테마는 라운지 음악 기행으로 현지인처럼 지내다가 오기가 목표였다. 그래서 이 책에는 관광지 설명이나 역사 소개가 없다. 그가 들렸던 카페의 아름다운 여주인, 식사거리를 해결했던 백화점 대형 마켓, 아름다운 건축물, 들렸던 음반가게, 책 구입의 애환, 빙판길을 조깅하는 현지인들에 대한 놀라움, 살인적인 교통비로 인해 웬만한 거리는 걸어다닐 수 밖에 없는 환경 등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할 뿐이다.

 

 혹시 작가의 직업 때문에 뭔가 색다른 걸 기대한 독자가 있다면? 있다. 우리나라처럼 카페 등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건 꿈도 못 꾸는 나라라 늘 숙소에 들어와 작업했던 작가는 직접정신을 살려 낮에는 여행을 하고 밤에는 그 감성 그대로 음악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것을 독자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 에피소드 옆에 QR 코드로 담아냈다. 그러니까 책을 읽는 그대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다면 책을 읽으면서 옆에 실린 QR 코드를 통해 바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는 것. 오호, 신세계구나.

 

 개인적으로는 영화 [카모메 식당]에 관련된 에피소드, 스웨덴의 아동 교육(아이들이 유치원에 입학하자마자 첫 번째로 배우는 것은 부모가 체벌을 할 때 신고를 하는 법이라고 한다)에 관한 소개가 재밌었다. 그대는 어떤 부분이 재미있었나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