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받을 권리 - 상처 입은 나를 치유하는 심리학 프레임
일레인 N. 아론 지음, 고빛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책 표지 그림이 인상적이었다. 얼굴이 보이지 않는 여자는 긴 치마를 걷어올려 스타킹을 신은 다리를 드러냈다. 다리는 가늘지만 종아리가 약간 휘었고 알이 박혀 '예쁘다'곤 말할 수 없어 보인다. 여자의 얼굴이 보이지 않아 나이는 짐작할 수 없다. 다만 가슴이 쳐진 듯 보이는 걸로 짐작하건대 어리거나 젊지는 않을 것 같다. 무슨 의미일까? 표지의 이 여자는 무엇을 말하고 싶은걸까? 궁금했다.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난 후 조금 짐작할 수 있었다.
여자는 '못난 나(The undervalued self)'를 형상화한 존재다. '상처 입은 나를 치유하는 심리학 프레임'이라는 부제처럼 긴 치마 밑에 감춰진 예쁘지 않은 다리를 보이며 자신이 부정하고 있던 나를 비로소 드러내어 치유를 시작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그녀의 긴 치마는 '못난 나'를 부정하는 방어기재로 보인다. 여자가 자신의 손으로 치마를 걷어 올린 모습은 누구의 손에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을 인정하는 모습처럼 보인다. 얼굴이 보이지 않는 건 아마 자신의 진짜 모습을 잃어버렸기 때문일 것 같다. 아니면 어느 누구도 여자의 얼굴이 될 수 있음, 즉 우리 모두 '못난 나'를 가지고 있기에 특정 모습을 가지지 않은 것일 지도 모르겠다.
일레인 N.아론은 임상 심리학자다. 심리치료사이자 사회심리학자로 '사랑'과 '호감'이라는 주제가 그녀의 전공분야였다. 20년 동안 상담을 진행하면서, 그녀는심리적 상처 속에는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프레임이 있다는 사실을 포착했다. 바로 '못난 나', 스스로를 낮게 평가하는 심리 기제 말이다.
이 책에서는 '못난 나'와 관련하여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 등장한다. '관계 맺기'와 '순위 매기기'인데 '사랑'과 '권력'으로 바꿔 이해할 수 있다. 두 단어는 1983년 정치심리학자 리안 아이슬러와 데이비드 로이가 처음 사용하며 등장했었다. 우리는 관계 맺기 대신 순위 매기기에 집중할 때 '못난 나'가 발달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총 여섯 가지로 최소화하기, 외부 요인 탓하기, 경쟁에서 빠지기, 과도하게 성취하기, 부풀리기, 투사하기다. 이 방어기제들은 독립적으로 발휘되기도 하지만 여러 개가 복합적으로 혹은 순차적으로 발휘되기도 한다. 때문에 방어기제라는 눈가리개를 걷어 내기 위해서는 매우 섬세한 관찰이 필요하다. 다행히 작가는 상세하게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총 9장으로 이루어졌는데 작가는 각 장마다 끝에 실천방법을 제시한다. 직접 적고, 관찰하고, 생각하며 스스로를 치유하도록 돕기 위함이다. 그러니 연필과 메모지 또는 컴퓨터를 책 옆에 두고 읽기 시작하자.
오래된 '못난 나'에서 벗어나는데 모든 사람이 이 책 하나로 해결할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작가가 자신하듯 분명 어떤 사람들은 이 책을 읽고, 작가가 제시한 실천사항을 하나씩 해나가며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문제란 스스로 자각함에서 치유가 시작되지 않던가. 이 책이 그런 당신을 도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