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금리 공부 - 금리만 알아도 경제가 보인다
염상훈 지음 / 원앤원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실질금리 마이너스의 시대

  => 물가 상승률에 비해 금리가 낮으므로 실물자산에 투자하지 않으면 재산은 줄어든다. 다 알고 있는 얘기.

2. 국가가 돈을 찍어서 나눠주면 안되는 이유

  => 짐바브웨의 예

3.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와 잃어버린 20년의 이야기.

  => 낮은 금리로 부동산으로 돈이 몰려서 부동산이 급등하고 버블이 3년만에 붕괴하면서 자산을 잃은 암울했던 이야기..

4. 한반도에 위기가 오면 원화는 약세인데 일본은 지진이 나도 엔화가 강세인가?

 => 엔화는 어떻게 안전자산이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들

5. 외환보유고가 높은것이 좋은가?

외환보유고는 돈 못벌고 묶여있는돈. 우리나라는 정부가 환율에 어느정도 개입하는 나라이므로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외주식에 투자해서 달러 매매수요를 늘려 외국인이 주식에서 크게 빠져나갈때 받쳐줄수 있는 수요가 있어야 함.

6. 우리나라는 국채 30년 금리가 국채 10년보다 낮은나라 => 정부 정책에 따라 소득공제를 통해 개인연금등 장기로 묶여있는 돈이 많아서 장기 국채의 금리가 높지 않음.


문제의식에 대해서 화두를 던지고 그에 대한 설명으로 되어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들이 많았다. 요즘같이 주식이 오르고 달러가 떨어지는 시기에 어떤곳에 투자를 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한번 읽어보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