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의 종말 - 하버드 의대 수명 혁명 프로젝트
데이비드 A. 싱클레어.매슈 D. 러플랜트 지음, 이한음 옮김 / 부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원제는 위와 같은데 아마도 "알츠하이머의 종말" 같은 책과 같은 느낌으로 한글 제목을 뽑은듯 하다. 작가는 노화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연구하는 연구원으로 그가 연구하면서 발견한 많은 과학적 지식을 동원하여 노화는 자연스러운것이 아니라 질병이며 이는 치료를 통해 되돌릴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이를 뒷받침 하는 내용들이 이 책에 소개되어있다. 전반부는 과거에 알고 있던 우리의 인식들과 중반부는 현재 우리가 알아낸 과학적 지식들에 대한 이야기인데 어려운 용어들로 인하여 계속 읽어나가기 어려울정도의 고비가 왔지만 읽다보면 용어에도 조금은 익숙해지고 어느정도 읽어 나갈 수 있다. 후반부에는 앞으로의 삶이나 지향해야 하는것, 그리고 작가가 노화를 치료(?)하기 위해 하고 있는 action들도 소개하고 있다. (물론 아직 임상을 통해서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는 내용들이다).

책을 읽어보면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다이어트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간헐적 단식, 저온으로 춥게 지내는것, 땀을 흘릴정도의 운동, 소식, 채식위주의 식생활 등이 노화의 예방에 도움이 되며 이것은 우리몸에서 반응하는 유전자의 활동을 분석하여 알아낸 결과들이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GMO (유전자 변형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엿볼수 있으며(작가는 이를 연구하는 사람이므로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 일수 있다) 인간이 오래 살게 됨으로써 생기는 부작용이나 사람들의 부정적 시각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고, 마지막으로 자기가 몸담은 조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활동들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

굳이 작가처럼 계속 노화를 치료하면서 늙지 않고 살수 있다는 견해를 동조 하지 않더라도, 많은 연구를 통해 노화를 개선하는 연구가, 효모나 생쥐를 포함한 사람에게도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유전자 자체는 A,G,C,T라는 4개의 조합을 가진 디지털정보이므로 그 내용은 완벽하게 복제가 될 수 있고, 복제양 돌리처럼 난자와 정자가 아닌 체세포를 통해서 개체의 복제도 가능하고 이때 원래의 대상이 노화했다 하더라도 복제한 대상은 오래 살 수 있다는등 여러가지 밝혀진 과학적 사실들을 통해 인간이 지금보다는 더 오래 살게 될 것이라는 사실은 자명해 보인다. 

진시황이 오래 살고 싶다는 욕망으로 불로초를 찾아 헤맨것 같이 흥미롭게 이 책을 읽을수도 있고, 우리의 수명이 건강하게 늘어날때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를 대비하는 측면으로도 이 책을 읽을 수도 있을듯 하다. 나이가 들면 나도 책에서 언급한 NMN이나 메트포르민 같은 약물을 먹게 될지도 모를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