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진짜 글쓰기 - 바로 알고 시작하는 초등 글쓰기
오현선 지음 / 이비락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저학년때는 책읽기에 집중을 했다면 중학년이 되면서 글쓰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아무래도 쓰기활동도 많아지고. 아이도 힘들어하는 부분이고. 나중 입시까지 생각하면 머리가 복잡해지는것이 글쓰기 지도일것이다.

그렇다고 짜여진 커리큘럼대로 움직이는 논술학원에 보내고 싶은 생각은 없다.

엄마와 어떻게 할 수 없을까?

고민은 많지만 참 실천이 안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비락의 [바로 알고 시작하는 초등 글쓰기 - 우리 아이 진짜 글쓰기]를 만났다.

현재 독서논술교실을 운영중인 저자의 글은 경험이 묻어나서 더 공감이 되었다.

왜 아이들에게 글쓰기. 잘 된 글쓰기를 요구하는지 나의 마음속 깊은곳에 질문을 해보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작가도 이야기했지만. 누군가 논쟁을 하고 돌아서서 왜 그때 그 이야기를 못했지 하면서 답답해하고 자신을 자책한 경험

나에게는 있다.

그래서 더 공감이 되어 열심히 읽었다.

 

그런데...

작가의 의도는 좋은데 너무 이상적인 이야기들만 담겨 있어서 조금 속상한 느낌이였다.

글을 쓰려면 우선 많이 읽어야한다.

맞다. 나도 공감을 한다.

글쓰기를 지도하는 사람은 글을 써야한다.

글쓰기를 해보지 않은 사람이 글쓰기를 지도한다는것은 공감하기 어렵다는 말에도 나는 찬성이다.

그런데 그것이 전부였다.

그럼 어떻게 지도를 하지?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리는 방법을 제시한다.

하지만 작가가 제시하는 그 방법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는것은 아는데...

쑥쑥 자라나는 아이를 가진 엄마의 입장.

부모가 아니라 학부모의 입장은 참 답답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답은 논술학원에 보내야하나?

그것도 작가 운영하는 ㅜㅠ

 

집에서 엄마와 많은 대화를 하고 글쓰기를 하는것이 가장 좋다.

그 대화를 해야하는데...

내 생활을 한 번 반성해보고. 내가 아이를위한다고 하는것들이 정말 아이를 위한 일인지 깊은 고민을 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분명히 글쓰기에 대한 책을 읽었는데. 왜 나의 생활을 성찰하는 시간이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아마도 내가 변해야 아이와 같이 즐겁게 글이라는것을 쓸 수 있을것이다.

급한 학부모의 마음을 조금은 내려놓고. 말이다.

아...

마음공부를 좀더 해야겠다.

 

저는 위 도서를 추천하면서 이비락으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