낱말 먹는 고래 - 글쓰기가 쉽고 즐거워지는 그림동화 초등 저학년을 위한 그림동화 4
조이아 마르케자니 글.그림, 주효숙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일기라는것을 쓰기 시작하죠.

일기도 글쓰기인데...

어떻게 써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 경우가 있어요.

그냥 쓰라고 하면 하루중에 있었던 일을 모두 쓰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다보면 손가락도 아프고. 글씨도 엉망이고.

결국은 쓰다가 포기하게 되고.

 

처음으로 기억되는 글쓰기가 너무 힘들고 어려워서

더이상 글을 쓰기 싫다고 하는 아이들도 있죠.

 

그럼 어른들은 글쓰기가 쉬울까요?

아마도 어른들에게도 아무글이나 써보세요. 한다면!!!

 

쉽게 써내려가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글쓰기 참 쉬운 일이 아니예요.

 

이렇게 글쓰기가 힘든 초등 저학년들에게 재미난 친구를 소개하려고 해요.

어떤 친구냐하면

이친구는 물속에 살아요.

하지만. 숨을 쉬어야하죠!

어 이쯤하면 아는 친구도 있겠죠.

맞아요. 바로 고래예요.

그런데 이 고래는 조금 특별한 고래친구랍니다.

바로바로 말을 할줄 아는 고래예요.

정말 신기하죠.

물속친구인데도 우리처럼 말을 해요.

어떻게 이야기를 잘 하는 고래 친구가 되었는지 우리 한번 알아볼까요?

 

주니어김영사 초등 저학년을 위한 그림동화 04 - 낱말 먹는 고래

 

 

 

붉은빛을 띄는 고래.

말하는 고래 이올레예요.

이올레에게는 혼자만의 친구가 있어요.

바로바로 시인이랍니다.

아무에게도 방해를 받지않고 시를 짓기 위해서, 매일매일 바다에 나와서 시를 짓고 자신이 지은 시를 낭독하는 멋진 시인이랍니다.

그런데 시인은 몰랐는데 청중이 있었어요.

매일매일 시인이 올 시간에 맞춰서 기다리고 있는 이올레가 저기 배뒤에 보이나요?

시인이 말한 낱말 하나하나가 바닷속으로 떨어져 가라앉으면 이올레가 그 낱말들을 하나하나 삼켜요.

그러면 그 단어들이 모두 이올레의 것이 되는것이예요.

 

이올레는 자신만 알고 마는것이 아니라, 맛있게 먹은 단어들을 나누거나 이어붙여서 바닷속 친구들에게 멋진 이야기를 만들어서 들려줘요.

바닷속친구들은 이올레의 이야기를 너무나 좋아했답니다.

 

그런데 어느날 부터 시인이 바다에 나오질 않아요.

더이상 낱말을 먹지못한 이올레가 상심이 커요.

깊은 바닷속 어두운 바닥으로 내려가 버려요.

얼마나 속상한지 짐작도 가지 않아요.

 

그런 이올레에게는 멋진 친구들이 있었어요.

이올레가 해주었던 단어들을 마음속에서 하나씩 꺼내서, 이올레를위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요.

이야기를 다시 듣게된 이올레는 너무나 행복했답니다.

 

친구들의 사랑으로 이올레가 다시 힘을 얻게 되었어요.

그리고 시인이 없어도 이제 바닷속친구들과 서로 이야기를 주고 받으면서 행복하게 살수 있을것 같아요.

 

그래요. 우리는 말하는 이올레처럼 특별하지 않아요.

하지만 단어들을 이용하면 이올레의 바닷속 친구들처럼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수 있어요.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바로 글짓기죠.

 

일기도 마찬가지예요.

그날에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을 몇개의 단어로 먼저 만든다음에 이야기를 만들면 되는거예요.

 

그래도 어렵다구요.

그럼 연습을 해봐야겠죠.

 

주니어김영사의 [낱말먹는 고래]는 글쓰기가 쉽고 즐거워지는 그림동화라는 부제가 있어요.

또한 멋진 글쓰기 공책도 있답니다.

그것도 교과서에 나오는 낱말들로 연습을 해 볼수 있어요.

 

올해 초등학교 1학년이된 울 공주님.

위에서 이야기한것처럼 일기를 쓰라고 하면 하루종일을 모두 쓰려고 해요.

그러다 손이 아프다고 그만두고...

어떤 식으로 써야할지 연습이 되지 않았으니 어쩌면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주어진 단어를 이용해서 글쓰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이올레에게 배웠으니까 열심히 연습을 해봐야겠죠.

 

 

맨처음에는 단어 다섯개가 등장해요.

글쓰기라면 싫다고 하던 녀석이 이렇게 이쁜 노트를 보더니 금세 달려드네요.

악어. 병원. 이빨. 선생님. 주사.

아이들이 자주 접했던 단어들이고 연관이 많은 단어들이라서 쉽게 이야기를 만들더라구요.

워낙 글씨가 엉망이라서 제가 옮길께요.

[악어의 이빨이 부러져서 병원에 가서 선생님 말씀 듣고 주사를 맞고 집에 왔다. ]

단어들을 모두 들어가긴 했는데...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는 끝! 하네요.

 

그래서 다음 페이지는 먼저 써보고 저와 같이 수정을 조금 했어요.

페이지가 넘어가면서 단어의 수는 다섯개에서 일곱개까지 늘어나요.

 

단어를 읽어보고 쓰라고 했더니. 몇줄이 되긴 했는데.

이번에도 하나의 문장으로 모두 연결을 해버렸네요.

그래서 같이 몇개의 문장으로 나누어봤어요.

그랬더니. 근사한 시가 탄생했어요.

 

 

 

 

바람

바람이 부니 바람개비 돌아가네

바람에 민들레 씨도 딸려 날아가네

바람에 빨레는 잘 마르고

엄마얼굴엔 미소가 가득!

 

너무 근사한 글이 되었어요.

엄마를 생각하는 이쁜 마음도 들어있고 말이예요.

칭찬 가득 해줬네요.

그리고 한 문장으로 만들지 말고 이렇게 몇개의 문장으로 만드니 더 근사한 글이 되는 과정도 같이 했구요.

 

글쓰기 왠지 어려울것 같은데. 이렇게 단어를 이용해서 하니 쉽게 써지더라구요.

울 공주님도 아주 신이 났어요.

 

이올레에게 배웠으니, 이제 일기도 글짓기도 너무 어려워하지 않을것 같아요.

글쓰기를 힘들어하는 많은 친구들에게 이올레와 같이 재미있고. 쉽게같이 해보자고 이야기해주고 싶어요.

 

저는 위 도서를 추천하면서 주니어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