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눈
딘 쿤츠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19로 뒤숭숭한 시기에 책 소개가 아주 자극적이다.

최근도 아니고,

40년 전 '코로나19'를 예견한 소설, 단독 한국어판 출간!

지나치다가도 눈이 한번 더 가는 홍보문구이다.

나도 궁금해서 책을 들었으니 말이다.

도대체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현재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이슈라서 그런지 세계 여러나라에서 베스트셀러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홍보문구가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면서, 마음이 불편하기도 하다.

[어둠의 눈]- 다산북스 

표지속의 여인은 너무나 연약해 보이는데...

어둠 속에 어떤 눈이 있을까?

책장을 넘기면 저저에 대한 소개가 있다.

40년전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필명으로 세상에 내 놓았던 이야기를 본명으로 다시 출간했다고 한다.

도대체 어떤 이야기이길래 40년 전의 이야기를 다시 출간했을까?


<현실적인 공포를 초자연적인 현상 속에 녹여내는 독특한 스타일로 정평이 나 있는 작가>라고 한다.

이 작가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데, 작가 소개부분을 보니 얼른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스팬스의 대가답게 몰입력이 대단하다.

책을 읽기 시작하면 중간에 멈추기가 힘들다.

4일동안에 일어난 일들을 주인공들을 쫒아가면서 같이 모험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이였다.

한편의 오락영화를 보는 것처럼 말이다.

얼른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자.

늦은 시간 집으로 돌아가던 주인공 티나는 낯선 차에 타고 있는 자신의 아이를 보고 소스라치게 놀란다.

1년전 사고로 죽은 아이인데 남의 차에 타고 있을 수 없다.

깜짝 놀란 티나는 자세히 그 아이를 살펴본다.

죽은 자신의 아이일리가 없다.

비슷하게 생긴 아이이다. 휴우~


1년 전 겨울캠프에 참가했다가 사고로 모든 참가자들이 죽었다.

티나의 아들 대니는 시신이 너무 상해서 경찰과 장의사들이 시신을 보지않는게 좋겠다고 했고,

티나도 그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관을 닫아둔 채 장례를 치루었다.

그런데, 최근에 자꾸 대니의 꿈을 꾸고 이상한 일들이 주변에서 일어나기 시작했다.

티나는 아들을 잃은 슬픔을 잊기위해서 일에 매달려서 그 성과를 내려는 시점이다.

호텔공연 출연자였던 티나는 언제까지 공연자로 살아갈수  없다고 생각하고 공연 제작자로 변신했다.

변변찮은 작은 호텔 무대에 공연을 제작하다가, 라스베이거스의 큰호텔에서 초연을 하게 되었다.

이제 제작자인 티나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공연자들과 기술자들이 실수없이 작품을 펼쳐보이기만 하면된다.

공연에 대한 스트레스라고 생각을 했는데.

티나의 집에서 이상한 일들이 일어난다.


간단하게 소개를 하자면 이렇게 적을 수 있다.

작가는 이 이야기들을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들처럼 생생하게 묘사했다.

티나의 불안하고 불편한 마음까지...

한장한장 페이지가 어떻게 넘어가는지 모르고,

얼른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다.

어두운 새벽 갑자기 들린 소리는 도대체 어디서 난걸까?

티나를 앞세우고 집안 여기저기를 둘러볼 때는 숨을 쉬기도 힘들다.


시체를 확인하지 못해서 악몽을 꾸고 이상한 일이 일어난다고 생각한 티나는 변호사인 엘리엇의 도움을 받아서 대니의 무덤을 파보기로 한다.

그런데...

티나와 엘리엇이 누군가에게 쫒기는 신세가 되고말았다.

대니의 죽음에는 도대체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코로나19로 모두가 사회적거리두기를 하는 요즘 백신이나 약이 얼른 개발되기를 바란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사람이 희생된다면 그렇게 백신이 만들어져도 괜찮은가?

아마도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이 이야기의 큰 줄기이다.


이 지구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모두 평화롭게 살아가면 좋을텐데...

왜 무기를 만들고, 많은 사람들을 소리없이 사라지게 하려는지 참 답답하다.

모두가 같이 살아가면 될텐데 말이다.


아이의 죽음을 알려고 하다가 자신들의 목숨이 위험해지는 티나와 엘리엇.

이야기속에서 두 사람은 몸을 웅크리고 숨어있으려고만 하진 않는다.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이리저리 부딪치기도 하면서 말이다.

그런데...

나라면 내가 죽을 수도 있는 상태라면 어떻게 했을까?

두 주인공처럼 행동했을까?

죽었다고 생각했던 자식이 살아있다는 믿음이 있다면, 티나처럼 행동했을 수 있겠다 싶다가도 고개가 갸웃해진다.



어찌보면 참 단순한 줄거리이다.

현실에서 만나기 힘든 초자연적인 이야기가 더해지면서

이야기가 한껏 풍성해지고 흥미로워졌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전염병이 돌고 있는 이 시기에

바이러스를 생화학무기로

소수의 사람들이 목적을 위해서 임의로 만든다는 설정은 너무 가혹한것 같다.


전 지구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모두 건강하고 평온한 일상을 누렸으면 좋겠다.


저는 위 도서를 추천하면서 다산북스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