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승의 인간 탐구 보고서 1 : 인간은 외모에 집착한다 (50만 부 기념 리커버 에디션) - 어린이를 위한 뇌과학 프로젝트 정재승의 인간 탐구 보고서
정재승 기획, 정재은.이고은 글, 김현민 그림 / 아울북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탐구보고서

제목에서 웬지 모를 어려움이 묻어나지 않나요?

표지를 보면 아이들이 보는 책인데...

도대체 왜 이렇게 어려운 제목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왜 인간을 탐구해야할까?

이런저런 질문을 안고 책장을 넘겨봐요.


아울북의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

 

알쓸신잡에서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해주었던 정재승교수가 10년을 기획해서 만든 책이라니 더 기대가 된다.

자신의 아이들에게 이야기해주고 싶은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자신의 아이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주고 싶은지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보자.

과학이라고 하면 괜시리 어렵게 느껴지는데...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인간의 모든 행동이 뇌의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좀더 깊이있는 이야기들을 만나 볼 수 있게되었다.

아이들의 흥미를 끌수 있게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우주의 외계행성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황폐해진 아우레 행성에 떨어진 작은 디스크판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자신들이 살던 아우레 행성을 떠나 새로운 곳을 찾던 중에 작은 디스크에서 찾은 정보로 지구가 어떤 곳인지 알아보러 탐사대를 보내게된다.

우리가 우주로 쏘아올린 저 작은 디스크가 지구를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된 것부터 신기하다.

독특한 외모를 한 외계인들이 가득한 아우레 행성

그곳에서 지구를 탐사하러 누가 오게될까?

이런 모습으로 지구를 다닌다면 금세 모습을 들켜버리고 말것이다.

<하라하라>라는 신기한 신기한 물건인데 원하는것은 무엇이든지 만들어낸다.

도깨비방망이보다 더 신기한 녀석이다.

아우레 행성의 우레나인들은 눈이나 팔, 다리 갯수로 각자를 구분하기에 팔다리 두개씩 있는 인간들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모든 인간들이 똑같아 보이는데...

인간들은 눈코입의 작은 차이로 서로를 구분하는 것을 신기해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것들을 다른 시각으로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지는 것도 독특한 경험이였다.


책 속에서는 외모로 많은 것은  판단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요즘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모습을 조금은 객관적으로 보는 경험을 통해서 생각을 해보는 기회가 되었다.

그런데... 이런 행동들이 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도 흥미로웠다.

중간에 있는 보고서를 통해서, 조금은 흥미롭게만 동화를 봤다면 과학적으로 조금 더 접근하는 방법을 배우게되었다.

과학책이라고 하면 지루하고 어렵다는 편견을 깨어주는 책이다.

만화와 동화가 적절하게 섞여있으면서도 중간중간에 과학상식을 담고 있다.

과학을 조금 힘들어하는 우리집2호도 쉽게 읽더라구요.

만화가 많이 있어서 그런지 더 흥미롭게 봤어요.

얼른 다음 이야기를 만나보고 싶다고 하네요.

우레나인들의 지구인 변신도 흥미롭게봤더라구요.

우리집2호 마음대로 라후드를 다른 모습으로 변신시켜줬어요.

우리집2호는 라후드가 마음에 든다고 해요^^

인간탐구보서와 같이 온 뇌과학지도도 흥미로운 내용이 가득해요.

늘 같이하고 있는 뇌인데...

이렇게 하나하나 알아보는것도 흥미로워요.

뇌에 대해서 새로운 것을 많이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답니다.

여러분들도 얼른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를 만나보세요.


위 도서는 아울북&을파소 출판사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포스팅한 콘텐츠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