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딘스키.몬드리안.폴록 명화로 보는 세계의 미술가 20
이은재 엮음 / 지경사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솔직히 말해서 필자는 폴락의 작품은 뭐가 뭔지 모르겟다. 그냥 술에 취해서 물감을 캔버스위에 휙휙 던지거나 붓으로 뿌리거나 해서 낙서 비슷하게 그려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번 보게되면 뭔가 시각적인 쾌감 내지는 즐거움이 느껴진다. 그리고 뭔가 광기 비슷한 것도 살포시 감지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는 미국 현대회화에서 한 획을 그었는데, 후대의 사람들은 이것을 액션페인팅이라고 칭한다. 아마도 평론가들이 그를 높이 평가하는 것은, 캔버스에 질서정연한 것들만 담는것이 예술이 아니라는 것을 몸소 보여주었기 때문이 아닐까? 고정관념에 휩싸이지 않는 것은 예술뿐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극히 필요한 발상의 전환이다. 한편, 잭슨 폴락을 다룬 예술영화도 개봉이 되었는....바로 폴락 'Pollock, 2000' 이다.


필자는 이런 예술가를 다룬 영화를 즐겨보는 편인데, 이런류의 영화는 그렇게 많이 만들어지지도 않고 또 국내에서 개봉되는 경우도 많지 않다. 대부분이 큰 영화관에는 명함도 내밀어보지 못하고 DVD로 발매되는 것이 현실이다. 더구나 요즘에는 인터넷상에서 다운로드 받아 보는 경우도 많아서 웬만한 매니아가 아니면 정보를 구하기도 쉽지 않다. 또한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제작하는 쪽에서는 제작비용을 건지기도 어렵기 때문에 더욱 시장이 좁아지는 것이 분명하다. 그래도 간혹가다 한 두 편씩 나오기는 하므로 상당한 고정 팬이 있는 모양이다. 필자가 보건데, 이런 류의 영화를 만들때 꼭 사실에 근거해서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만들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약간의 상상력과 영화적인 재미도 가미해주면 좀더 많은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