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로 들여다 보는 우리의 옛 그림 - 신윤복 편 1
정유현 지음 / 범우사(이영휘)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혜원 신윤복의 그림을 볼 수 있는 것만으로도 가치가 있는 책이다. 대개 이런 보물이나 국보급 작품들을 평범한 사람들이 진품을 볼 수 있는 기회란 거의 없다고 봐도 될 것이다. 그나마 이렇게 사진으로 볼 수 있다는 것만 해도 반가울 따름이다.

우리나라 그림의 역사에 있어서 혜원 신윤복 만큼이나 색시한 작품을 남긴 화가는 없을 것이다. 유려한 선과 강렬한 채색, 그리고 묘한 상황이 주는 그의 스타일은 정말 탄복을 금할 수 없다. 어떤 한 연구자는 그의 작품이 일본으로 건너가, 당시의 우키요에라는 풍속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림의 스타일이나 화풍에서 그런 분위를 많이 느낄 수는 있으나,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아뭏든 김홍도와 더불어서 신윤복은 조선이 낳은 걸작이다. 당시의 에로티시즘이 궁금하다면 꼭 한번 읽어보시라.


필자가 개인적으로 인상깊게 감상한 그림은 '쌍검대무' 라는 작품이다. 이 걸작은 국보 135호로도 지정되어 있어서 그 가치를 알만하다 할 것이다. 넓은 마당 한 가운데에 쌍검을 들고 화려하게 차려입은 기생 두 명이 검무를 추고 있고, 그 주변으로 악사와 구경꾼들이 원형으로 늘어서 있는 장면이다. 검을 든 기생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붉은색과 샛파란색으로 화려하게 채색을 했으며, 그 움직임이 나긋나긋하면서도 율동이 느껴지는 지라 한 폭의 양반춤을 보는것 같다. 그리고 그 주변인물들은 상대적으로 색감을 옅게 만들었다.


특히나 정중앙 보다는 그림 오른쪽에 있는 기생의 동작이 매우 다이나믹한데 필자는 자꾸만 그 여인네에게로 시선이 가고 만다. 오른손에는 노리개를 매단 장검을 머리쪽으로 들고 있고, 왼손은 오른쪽 겨드랑이 아래로 넣어 또 하나의 검을 들고 있다. 그리고 모둠발을 띈 흰 버선 한 짝이 바람에 날리는 치맛살 아래로 살짝 드러나 있으며, 머리에도 화려한 관을 썼다. 이 모양이 왜 이렇게 눈에 들어오는지 모르겠다. 뭔가 필자의 내면을 건드리는 것이 있는것이 분명하다. 설명이 장황했는데 누구나 한 번 보면 감탄이 저절로 나오게 될 것이다. 아하~ 과연 혜원 신윤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