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 Riboud (Hardcover) - 50 Years of Photography
Annick Coljean / Flammarion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필자는 마크 리부의 작품을 볼 때마다 페르낭 레제의 예술작품이 오버랩된다. 특히나 '에펠탑의 페인트공(Man painting the Eiffel Tower without a safety belt more than 900 feet avobe Paris. 1953)' 이라는 사진은 전체적인 분위기가 레제의 '건설자들' 이라는 회화작품을 보는 듯 하다. 필자의 사진보는 내공이 딸려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아니면 일종의 기시감 때문인가? ㅎㅎㅎ
이 사진은 하얀 배경을 바탕으로 탑의 조형성이 K자 구도를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인물은 조금은 무심한 듯한 표정을 갖고 그러면서조 약간 미소를 띈 듯한 옆모습, 한 손에 붓을 들고 에펠탑을 칠하는 시늉을 하고 있다. 그런데 페인트칠에는 집중하지 않고 있는듯 해서 약간 설정샷 비슷한 냄새가 풍긴다. 이 사진이 바로 표지에 나와 있는 마크 리부의 사진집이다.

또 하나나 이름난 작품이 있는데, 제목이 'Confrontation between a flower and the bayonets of solders guarding the Pentagon during the March for Peace in Vietnam. Washington, D.C., October 21, 1967) 라는 사진이다. 화면 좌축에 총을 든 병사들이 있고 우측에는 한 여인네가 그 총구에다가 꽃을 꼽아넣는 장면이다. CF에서도 많이 패러디 되었을 정도로 잘 알려진 작품이다. 이렇게 냉정한 현실을 아이러니한 코믹스타일로 만들면서도 뭔가를 생각하게 하는 스타일이 바로 마크 리부 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사진 이전에 1958년에 그는 일본에도 잠깐 갔었는데 몇 작품이 소개되어 있다. 원제가 (The Buddha of Kamakura. Japan, 1958) 인데, 화면 중앙에 큰 돌부처가 보이고 그 바로 앞에 여인네와 딸이 작게 나와있다. 그리고 이 모녀를 촬영하는 남자가 매우 과장스럽게 포즈를 취하고 있는 것을 리부가 촬영한 사진이다. 모녀를 찍는 남자는 엉거주춤한 자세로 양다리를 좌악 펼치고 --기마자세라고 하나?-- 바지는 배위까지 올린다음 단단하게 벨트를 조이고 있다. 마치 불량스러운 야꾸자를 보는 듯하다. 왜 이렇게 기묘한 자세로 불편하게 사진을 찍고 있을까? 아마 이 장면이 무척이나 우습게 보여서 리부가 찰칵 찍은 것 같다. 필자가 짐작해보기에는 당시 일본에서 카메라 라고하는 것은 일종의 중산층을 상징하는 아이템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래서 이런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과시하느라고 그런 자세로 사진을 찍는 것이 아니었을까?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