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가.춤.데생
폴 발레리 지음, 김현 옮김 / 열화당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평생 외길만 파는 사람이 있다. 드가가 그렇다. 그는 오로지 발레리나만을 그렸다. 그것도 화려한 무대에서의 발레리나가 아니라, 무대 뒤편의 연습실을 주로 그렸다. 왜 그랬을까? 아마도 그의 기질 때문이 아니었을까 짐작해본다. 그는 평생을 독신으로 보냈는데, 주된 이유는 인간에 대한 환멸 때문이다. 아마도 발레리나만을 그리려했던 것은 그의 이런 성격때문이 아니었을까 싶다. 필자는 이제 좋은 면만을 바라보고자 한다. 드가에 대한 해석을 달리 해 보자. 그가 발레리나를 주려 그렸던 것은 인간에 대한 혐오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반대되는 것에 대한 동경 때문은 아니었을까? 예를  들어, 아마도 그가 경험해보지 못한 --드가는 부유한 집안을 가졌음-- 서민들의 삶 때문이 아니었을까? 자신이 가지 못한 길,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것은 항상 동경으로 남을 수 밖에 없으니까 말이다.

사실 필자는 이렇게 외길을 가는 사람이 부럽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으면 목표가 생기고 거기에 집중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나는 아직까지 정말로 뭔가 해보고 싶은 일을 발견하지 못했다. 내 정신과 에너지를 쏟아부을 대상이 있었으면 좀더 행복한 삶을 살수 있지 않을까? 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러할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에드가 드가의 작품을 볼 때마다 발레리나가 생각나지는 않는다. 내 연상기억의 프로세스에는 미국의 영화배우 더스틴 호프만이 떠오른다? 왜냐고? 그가 출연한 영화 빠삐용에서의 이름이 바로 드가이기 때문이다. ㅎㅎ 머리가 히끗희끗해서 삶이 얼마 남지 않은 빠삐용은 코코넛 열매로 얽기섥기 엮은 엉성한 구조물을 험한 파도가 몰아치는 바닷속에 던진다. 그리고 절벽에서 다이빙하여 거기에 올라타고 자유를 향해 헤엄쳐 간다. 아마도 주인공 빠삐용은 스티브 매퀸이었던가? 이젠 기억도 안나네. 주연이 아닌 조연으로 나온 더스티 호프만(드가 역)은 한쪽 다리가 부서지고 한쪽 알에는 금이 간 안경을 끼고 그를 향해 마지막 인사를 건넨다. 난 이제 삶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 더 이상 탈출하려고 애를 쓰고 싶지 않다네. 그저 이 평화로운 감옥(섬)에서 일생을 마치길 원할 뿐이야~.
그리고 이 장면이 흐른뒤에 나레이션으로, 빠삐용은 얼마 남지 않은 삶을 자유인으로 살았다고 나온다. 어떻게 하다보니 드가에 대한 서평이 아니고 영화의 줄거리 소개가 되어버렸군. 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