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원식물 -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강병화 지음 / 한국학술정보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그대로 우리나라의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자원식물에 대해서 ---약용과 식용 카테고리로 나눠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사진이나 일러스트가 없이 텍스트로만 된 서적으로써, 내용의 깊이가 남다른 서적이다. 750쪽을 약간 넘는 학술관련 도서인데 자원식물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으로 꾸며져있어, 보통 사람들이 보기에도 무리는 없으나 전문 연구자나 전공자를 위한 책으로 보인다. 저자의 이름으록 검색해보면 알겠지만 ---한 마디로 돈이 안 되는 책이라서--- 일반 출판사가 아닌 '한국학술정보' 에서 펼쳐낸 서적이다. 한편 부록이 상당히 자세히 나와서 따로 책 한 권을 만들 정도다.


자원식물이란 단어를 보니, 노르웨이에 보관중인 세계 종자 보관소가 생각난다. 핵전쟁으로 인한 인류 종말의 날을 대비해서, 전세계의 종자들을 모아서 보존중이라고 한다. 지진에도 견딜 수 있고 핵폭발에도 견딜 수 있다고 함. 그리고 무엇보다 최소한 1천년 이상 보관이 가능하도록 영하 18도 이하로 온도를 유지한다고 한다. 지금까지 여러 나라에서 세계 곳곳에 있던 종자은행이 태풍이나 홍수등으로 인해서 사라진 곳이 몇 군데 된다고 함.


우리나라도 2005년에 1만5천 여종의 종자유전자원이 수집되어 -18도에서 보관중이라고 한다. 노르웨이에 비하면 아직 미약한 수준이지만, 그나마 이정도라도 한 것이 얼마나 다행스러운가? 계속해서 수를 늘려야 할 것이다.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이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