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담수동물플랑크톤도감
조규송 / 아카데미서적 / 1993년 5월
평점 :
절판


양장본으로 만들어진 전형적인 도감인데, 현미경으로 촬영한 컬러 사진이 10여 장 밖에는 나오지 않는다. 나머지는 흑백 사진과 일러스가 곁들여져서, 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나머지 절반은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 필름 사진 시절에는, 이런 자료 사진을 찍는 것이 상당히 까다로웠다. 물론 지금도 현미경 사진을 얻는 것은 보통사람들에게는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주로 대학의 연구기관에서 전문적인 장비를 동원해서 촬영을 했다. 그리고 이에 따르는 비용도 만만치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웬만한 현미경은 그다지 가격이 높지 않기에, 보통 사람들도 마음만 먹으면 어렵지 안게 구입할 수 있다. 게다가 DSLR이 대중화 되면서 필름으로 소요되는 경비가 전무하므로 상당히 편리한 환경에서 이러한 미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학제품의 가격은 예나 지금이나 별다른 가격변화가 없다는 것이 함정이다. ㅎㅎㅎ 왜 일케 비싼것이야~~~~


아뭏은 책의 내용을 조금만 소개해 보련다.
짚신벌레속. 몸은 짚신모야이고 입 주변도 오른쪽 상부에서 왼쪽 하부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핵은 땅콩 모양의 큰핵 1개와 원형의 작은핵이 1개 있다. 큰 수축포는 2개가 있다. 짚신벌레라는 이름은 그 모양에서 따 온 것이다. 썩은 물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통 종이고 인가 근처의 하수구에는 거의 연중 나타난다. 학교 교과서에 삽화로 나오는 것은 대부분 이 종류이고 세포생리학의 실험자료로 많이 쓰여지고 있다. 여름에 짚 썩은 물을 약간만 부어 주면 많이 발생......중략....모양은 장방형애 가까우며 뒤끝에 몇 개의 긴 섬모가 있다....생략.

이 정도의 사전 정보를 습득하고, 직접 현미경으로 이런 미생물을 관찰한다면 매우 재미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