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속 불교식물 - 자비의 향기를 전하다
민태영.박석근.이윤선 지음 / 이담북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명의 공저자가 만들어낸 인문서적임과 동시에 도감의 몇가지 특성을 공유하는 책이다. 한쪽에는 옛날옛적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이야기가 나오고, 다른 쪽에는 일러스트가 곁들여져 있다(경전에 나온 불교 식물이기에 몇몇은 상상속의 존재다. 이런 이유로 사진이 아닌 그림을 집어넣은 것 같다). 우리나라는 신라시대 이래로 불교가 대중화 되었고 이후 저변을 확대하면서 관련 문화재가 무수히 많다. 거의 2천년에 달하는 역사이니 그럴만도 하다.

 

 

이런 까닭으로 실생활에서 불교 용어가 많이 쓰인다. 어원도 모르면서 말이다. ㅎㅎㅎ. 몇가지를 잠깐 살펴보자면, 유교에서 쓰는 차례상. 이것이 사실은 '녹차를 우려내서 예를 차린다' 라는 뜻인데 아다시피 차는 불가에서 시작하여 민간에 전파된 것이다. 녹차를 마시면 여러가지 좋은 효능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머리를 맑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참선하는 도중에 졸음을 쫓는 용도로 쓰인다. 그리하여 신라시대에는 너나없이 차를 즐겼다. 그래서 나온 말이 '일상다반사' 이다. 즉, 일상적으로 차(다)를 마신다라는 의미다.

 

이밖에도 여러가지 이야기 보따리가 펼쳐진다. 마치,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옛날 이야기를 듣는 듯하다. 옛날 얘끼하면 전설의 고향이 생각난다는......ㅎㅎㅎ 아뭏든 꼭 불교신자가 아니더라도 여러가지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오 읽는 맛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