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수생식물과 생활주변식물 도감 - 완전컬러판
구자옥 외 지음 / 학술정보센터(=한국농업사학회)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2009년에 출판된 도감인데 그 흔한 리뷰가 한 편도 없다니 아쉬울 따름이다. 하긴 도감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니 그럴수도 있겠다. 한편으로는 아마도, 가격이 상당히 나가기 때문에 관심도가 낮고 낮지 않을까 한다. 또 하나는 수생식물이라는 제한적인 접근성 때문에 대중화가 덜 된 이유도 있지 않을까 짐작해본다. 2책으로 분권을 해서 출간했더라면 조금 달라지지 않았을까?

 

 

아뭏든 전형적인 도감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즉, 사진과 간단한 설명, 학명, 쓰임새 등등이 매 페이지마가 기록되어 있다. 수록된 사진의 숫자는 3천장 정도이며, 두께는 900쪽에 가깝고 무게만도 3kg에 달하는 두툼한 책이다. 도판의 크기는 A4용지와 비슷하며 4명의 전문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해서 만든 도감이다. 출판사를 보니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곳은 아닌 것 같다. 학술정보센터라고 하니 일종의 재단으로 보여진다.

 

 

 

수생식물이라면 보통 사람들에게 그렇게 익숙한 대상은 아니다. 필자가 알고 있는 수생식물이라면 부들, 갈대, 으악새(대중가요의 한 귀절이 생각나는데, 새가 아니고 억새풀을 뜻함. 나도 처음에는 몰랐음 ㅋㅋㅋ), 연꽃, 정도만 그 즉시 떠오를 뿐이다. 이중에서 부들은 그 모양새가 쏘시지를 닮아서 한 번 보면 잊어먹을 수가 없다. 이 수생식물을 처음 알게된 계기는 쇼윈도에 꽃꽂이를 해서 장식해 둔, 어느 부띠끄에서다. 인상이 깊어서 뒤져봤더니만 부들이란다.

 

 

갈색이 나는 쏘세지를 만져보면 매우 부들부들하다. 아마도 이런 특성을 캡쳐하면 이름도 부들이된거 같다. 냄새를 맡아보면 제법 향이 난다. 그런데 말리게 되면 그 냄새가 조금 기분이 나쁘다. 건조해서 한 동안 놔두면 저절로 속살이 터져서 --마치 목화솜이 터지듯이-- 씨앗을 멀리멀리 뿌린다. 따라서 건조표본을 만들기가 애매한 녀석이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일종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약간 허여멀건한 솜이 터져나올때 손으로 꾹 누르면 뻥튀기 처럼 눈깜짝 할 사이에 '팡' 하고 터져버린다. 이 재미가 쏠쏠하다. ㅎㅎㅎ. 그런데 이거 도감평가가 맞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