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속 소녀
도나토 카리시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묻은 옷을 입고 정신과 의사에게 진료를 받고 있는 한 남자. 이 남자는 바로 소설속의 주인공인 형사 포겔입니다. 한때 화려한 전력으로 이름을 알린 형사인데 어째서 피투성이 옷을 입고 의사앞에 앉아 있는 걸까요.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이 되었고 곧, 그와 관련된 사건이 일어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알프스 산골에 위치한 이 마을은 독실한 신앙을 가진 가구들이 모여있는 교구공동체 마을입니다. 이 마을에서 애나 루 라는 한 소녀가 실종이 되었지만 경찰들은 다소 폐쇄적인 마을 분위기를 견디지 못한 한 소녀의 가출일것이라는 생각으로 적극적인 수사를 펼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형사 포겔은 단순한 가출이 아니라는 것을 직감적으로 느끼고 이 사건을 직접 맡게됩니다.

 

 

 

포겔은 꽤나 능력 있어 보이는 형사이지만 과거 한순간 잘못된 생각으로 증거조작을 하여 무고한 사람을 죄인으로 몰아부친 전력이 있었던터라 애나 루의 실종사건으로 다시 화려한 복귀를 꿈꾸고 있습니다. 무슨일이든 과한것은 모자람만 못하다고 했던가요. 역시나 이번 사건도 만만치 않음을 느끼게되죠. 이 사람은 분명히 용의자다 라고 생각을 했건만 검찰측에 그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또다시 위험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가 지목한 용의자이지만 마티니 본인의 입장에서 전개된 이야기를 읽으면 마티니는 전혀 위험하지 않은 인물입니다. 자존감도 없고 벌이도 시원찮은 한 남자일 뿐이죠. 하지만 용의자라고 결론지어 놓은 입장에서 전개된 이야기는 확실히 범인이 맞다고 느껴집니다. 진실을 위장한 아주 지능적인 범인으로 말이죠. 굳이 그가 범인이라고 말하지 않는다고해도 독자들은 그가 범인이라고 믿어버립니다. 이 대목에서 작가의 필력에 다시 한 번 감탄하게 됩니다.

 

 

 

한가지 간과할 수 없는것은 이 이야기는 그저 소설속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 흔히 일어나고 있는 유괴사건들, 그리고 그 사건과 관련된 미디어의 보도 자료들. 뿐만아니라 유괴사건에 한정된 것이 아닌 모든 사건 사고에 대한 언론 보도 자료들을 보면 너무 앞서간다는 거죠. 앞서가다 못해 허위 사실을 보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 보도자료를 접한 시청자들은 또 거기에 휩쓸려 진실을 보려하지 않고 어서 빨리 그 사건이 해결되기만 바라게 됩니다. 그런 시청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언론은 또 헛다리를 짚더라도 한발 더 앞서간 보도자료를 섣불리 내놓기도 하죠. 한마디로 언론은 사건을 사건 자체로 보기보다 뭔가 이익의 창출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이런 사실을 깨닫는 순간 이 사회가, 그리고 사람들이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대로 된 스토리로 엮은 범죄는 기록적인 수준으로 시청률을 끌어올리며 각종 스폰서와 광고를 몰아오는 법이다. 작은 마을에서 잔혹한 살인사건이나 미궁에 빠진 실종사건 같은 강력사건이 발생하면 미디어에 노출되는 기간 동안 그 지역을 찾는 외지인들의 수가 늘어나고, 이는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범죄사건 하나가 다른 모든 것들을 제치고 최고의 흥밋거리로 부각되는 이유를 논리정연하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사람들은 규명할 수 없는 일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다. (본문중)

어쩌면 좀 심심한 스토리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책을 읽다 보니 이건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인지라 쉽게 읽고 넘길수가 없었습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참 많은 사건 사고를 겪어왔습니다. 하지만 그 사건 사고들이 제대로 수사가 진행이 되었는지, 검거된 범인이 진범이 맞는지 우리는 그 진실을 알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하니 그렇다고 믿을 수 밖에...이 이야기의 깜짝 놀랄 반전만큼 우리의 현실에서도 언젠가 깜짝놀랄 반전이 어디선가 불쑥 나타났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