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어가 잠든 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9년 2월
평점 :
소년은 언제나 휠체어에 누워 잠들어 있는 소녀가 궁금했다.
그녀가 언제 눈 뜰지, 언제 잠에서 깨어나 눈을 마주하게 될지.
어느 날 소녀는 사라지고, 긴 시간이 흐른 후 소년은 아주 특이한 방식으로 소녀와 재회하게 된다.
‘인어가 잠든 집’은 죽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죽음을 바라보는 여러 시선을 통해 삶과 죽음의 정의, 그 경계의 모호함,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고귀함 등을 두루 고찰한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전작 ‘공허한 십자가’에서 사형 제도를 깊이 고찰한 바 있다. 이번에는 뇌사를 도마 위에 올려놓는다. 뇌 기능 정지에 해당하는 뇌사 판정이 곧 사망 판정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아직 심장이 뛰고, 인공호흡기를 통해 숨을 쉬고, 혈관을 따라 피가 돌고 있는 육신을 한순간에 무생물 취급 할 수 있는 걸까. 뇌사 판정을 받은 이가 바로 당신의 가족, 당신의 자식이라면...? 순순히 사망 판정에 동의하고 아직 심장이 뛰는 가족의, 자식의 육신을 담담히 관에 넣을 수 있을까.
반대로 아직 심장이 뛰고는 있지만 뇌가 기능을 멈췄고, 육신이 움직임을 멈춰 더 이상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할 수 없는 상태를 과연 ‘살아있다’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를 아직도 가족이라고, 자식이라고 생각하며 언제까지나 옆에 끼고 살아갈 수 있을까. 평생을 뇌사 상태로 식물인간처럼 병상에 누워 있는 이에게 ‘삶’이라는 것이 존재하기나 할까.
작가는 여기에 장기 이식 문제를 더해 더욱 난감한 질문들을 던지며 독자를 궁지로 몰아간다.
뇌사로 인간으로서의 삶과 기능은 끝났지만 아직 장기는 살아있다. 그 장기를 늦기 전에 누군가에게 이식한다면 죽어가는 다른 생명을 온전히 살릴 수도 있다. 하나의 육신은 완전한 죽음을 맞지만 그의 몸에서 적출한 장기들로 죽어가던 다른 육신이 살아날 수 있는 것이다. 한 사람의 생명을 포기하는 대신 그 사람으로 인해 다른 여러 사람들이 생명을 얻는다. 당신의 결정(뇌사를 받아들이고, 장기 이식에 동의) 여부에 따라 여러 사람들이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고, 생명의 희비가 엇갈린다면 과연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어떤 선택이 바람직한 선택이며, 후회 없는 선택이 될까. 뇌사에 빠진 내 가족을 ‘죽음’으로 인정하고 그 장기를 적출해 죽어가는 다른 이들을 살려내는 게 바람직할까. 아니면 아직 심장이 뛰고, 체온이 남아 있는 내 가족을 끝까지 살아있다고 믿으며 붙들고 사는 게 바람직할까.
작중 가오루코는 뇌사에 이른 딸의 죽음을 결코 받아들이지 못하고 끝까지 함께 있으려고 한다. 움직임을 멈췄고, 의식도 멈췄고, 말 한마디 하지 못한 채 잠든 듯 눈을 감고 있는 딸을 끝까지 살아 있다고 믿으며 심지어 언젠가는 의식도 돌아오고 눈을 뜰 것이라는 헛된 기대까지 품는다. 그 기간이 길어지면서 주변의 여러 사람들이 힘들어하고, 누군가의 장기 이식을 간절히 바라며 생명을 잃어가는 자식을 안타까이 바라보는 다른 부모들의 모습도 그려진다.
하나의 생명이 완전히 꺼져가는 순간을 지켜보는 일은 무척 고통스럽다. 경험해 보지 않은 이들은 그 고통의 무게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하기도 힘들 것이다. 그 생명이 자식의 생명이라면 더 말할 필요도 없겠다. 그럼에도 자식의, 부모의, 가족의 ‘죽음’을 ‘인정’해야만 하는 순간이 반드시 온다.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이 순간을 피할 수 있는 이는 아무도 없다.
그래서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죽음 이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고찰은 대단히 중요하다.
소설을 통해서라도 그 순간을 경험하고 고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면 그 시간은 유가치할 것이다. 소설 문학의 순기능 중 하나가 바로 이런 것이다. 작품을 통해 아직 경험해 보지 못한(그러나 언젠가는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삶을 미리 경험하고, 느껴보는 일.
죽음을 고찰하는 것은 결국 삶을 고찰하는 일이며, 인간을 고찰하는 일이다. 그리고 세상을 고찰하는 일이며, 우주를 고찰하는 일이다. 고찰은 성찰로 이어질 것이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은 더 넓고 깊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