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9 제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박상영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4월
평점 :
한국의 젊은 작가들이 쓴 소설을 읽으면서 '젊음'을 느끼기가 참 힘들었다.
젊은이들이 등장하고, 젊은이들의 말투를 쓰며, 심지어 (젊은)작가의 모습이 그대로 투영된 듯한 부분까지 발견할 수 있음에도 '젊다'라는 느낌은 별로 들지 않았다. 젊은 작가들이 쓴 글이 왜 그렇게 기운 없고, 칙칙하고, 맥빠지는 느낌만 드는 걸까. 자기 연민에 빠져 우울해하거나, 아니면 지나치게 명랑한 척 오버하거나... 이런 식으로 말고는 젊음을 그릴 수 없는 걸까. 그것이 현실의 반영이라고 해도 소설 속에서까지 그런 칙칙한 젊음을 보고 싶지는 않을뿐더러, 대부분의 소설들은 현실의 반영이라기보다도 그저 개인(감성, 혹은 취향)의 반영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독자를 자신의 세계로 끌어당기려는 작가가 있고, 독자의 세계 속으로 다가가려는 작가가 있다. 전자보다 후자가 더 훌륭한 작가라고 생각한다. 아쉽게도 한국의 젊은 작가들 작품을 읽으면서 후자를 발견하기는 힘들었다. 다들 자기 이야기만 하려고 목청을 높이는 식이다. 심지어 그런 시도조차 하지 않는 작가들도 있는 것 같다. 독자들이야 관심이 있든 없든 나는 내 이야기만 하겠다는 작가. 그런 작가의 이야기는 어쩌다 귀 기울이고 들어봐도 딱히 흥미롭지도 않고, 공감도 안 간다. 작가 자신만 신나하며 자기 작품에 흠뻑 빠져 있는 것 같다. 자기 연민이나 우울하고 쓸쓸한 분위기를 즐기는 작가와 작품들.
이번 '젊은작가상 수상 소설집'에 실린 대부분의 작품들에서 내가 느낀 감정은 대략 이와 같았다.
그나마 김희선의 '공의 기원' 같은 작품을 만날 수 있었던 건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독자를 자신의 세계로 끌어당기려 하지 않고, 독자의 세계 속으로 유연하게 다가가려 한 작품은 '공의 기원' 하나뿐인 것 같았다. 김희선이라는 이름 하나만 기억할 것이다(믿었던 정영수도 이번에는 실망스러웠다). '공의 기원' 하나만 본다면 별점을 네 개까지도 줄 수 있으나 나머지 작품들이 내 취향과는 너무 거리가 멀어 별점을 더 높여주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과거의 수상작들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요즘의 취향이나 트렌드를 내가 못따라가기 때문일까. 이런 것이 정말 요즘의 취향이고 트렌드라면 나는 거기에 편승하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다.
다른 독자들은 너무 좋다느니, 아주 재미있다느니 잘도 칭찬들을 해대던데, 나에게는 와닿는 작품이 참으로 없어서 안타까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