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
김재영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작년에 김재영의 단편 '코끼리'를 읽고 이 작가의 소설집이 어서 나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렸었다. 물론 출간되자마자 책을 사서 단숨에 읽고 그 중 마음에 드는 몇 작품은 생각날 때마다 수시로 읽는다. 한마디로 '코끼리'는 꼭 마음에 드는 소설집이란 얘기다. 박민규의 '카스테라'나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 박성원의 '우리는 달려간다'처럼. 

이 책에 실린 열 편의 소설들은 모두 긴 여운과 감동을 느끼게 한다. 어느 것 하나 가볍게 읽히는 게 없다. 마음의 심연까지 조용히 파고드는 소설들이다. 세련된 댄디족들이 나와 세상사 문제들을 만화책 넘기듯 훌훌 넘겨버리며 여유만만하게 살아가는, 요즘의 젊은 신인 작가들에게서 볼 수 있는 그런 쿨한 소설들이 아니다. 당면한 문제들을 가볍게 외면하고 자신만의 판타지로 숨어버리는, 약삭빠르게 가면을 뒤집어 쓰고 능청을 뜰 줄 아는 그런 인간들은 등장하지 않는다. 열 편의 소설들은 모두 비루하고 무서운 삶에 대한 기록들이며 그런 삶을 살아가는 비참한 인간들의 초상이다.

열 편의 소설들에는 현실에 천착한 문제들에서 쉽게 헤어나지 못하고 버둥거리며 눈물 짓는 인간들이 등장한다. 아무리 발버둥쳐도 삶의 색깔이 쉽사리 바뀌지 않는 비참하고 가련한 인간들을 볼 수 있고, 그들의 얼굴 위로 얼룩지는 땀과 눈물을 볼 수 있다. 작가는 비루한 삶 속에서 귀중한 감동을 전해준다. 그러나 억지 감동을 쥐어 짜려고 하지는 않는다. 작가는 신인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성숙된 필체로 담담하고 조용하게 이야기를 들려준다. 담담하고 조용하게 문을 열고 안의 세상을 들여다 보게 해 준다. 보고 스스로 느끼라는 것이다. 이런 세상이 있다는 것을, 이런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들이 있다는 것을, 그 인간들의 모습이 낯설지 않다는 것을...

특히 이 소설집에는 그동안 한국문학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외국인 노동자의 삶과 아픔을 소재로 삼은 소설이 두 편('코끼리','아홉 개의 푸른 쏘냐')이나 실려 있다. 작가는 그 동안 한국문학이 접근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에 발을 들여놓고 치열하게 그 세계를 탐구하면서 값진 문학적 성과를 이룩한 것이다.  

수록된 열 편의 소설 가운데 표제작 '코끼리'를 비롯하여 '아홉 개의 푸른 쏘냐','국향' 등 세 편이 가장 마음에 든다. 특히 감동적이었던 소설은 이 중에서도 '국향'이었다.  이 단편은 21세기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단편으로 선정되어도 무방할 것 같다.

사담이지만 작년 12월에 출간된 이 소설집이 왜 2006년 동인문학상 후보에 오르지 못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아직 동인문학상 심사독회가 끝난 것은 아니고, 또 꼭 동인문학상을 받아야만 좋은 소설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는 이 소설집을 다 읽는 순간 2006년 동인문학상은 이 책에게 돌아가겠구나 하는 기대를 했었고, 그 기대는 지금도 변함이 없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