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 장편소설을 쓰면서 김연수가 얼마나 고생을 했는지는 눈에 보인다. 그리고 읽는 내내 나도 고생스러웠다. 하지만 김연수야 '프로소설가'이니 수많은 취재와 공부들이 즐거운 고생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독자인 나에게는 그저 고생일 뿐이었다. 왜냐하면 그렇게 고생고생해서 다 읽었는데도, 별로 고생하지 않고 읽은 책들에 비해 특별히 더 많은 것을, 혹은 더 값진 것을 얻은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내 입장에서는 고생한 게 아까웠다. 김연수는 적어도 그 고생들의 대가로 원고료는 받았을 게 아닌가. 독자는 작가의 고생에 대한 대가(혹은 치하로) 책값을 지불하는 것으로 일차적인 소임은 다 하는 것이다. 그러니 작가는 아무리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쓴다고 해도 자신의 책을 사는 독자를 위해 최소한의 배려는 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김연수는 이 책에서 그런 배려를 하지 않았다. 한자가 나오면 옥편 뒤져가며 찾고, 이해가 안 되면 교과서를 읽듯 두세번 다시 읽고 공부하라는 것이다. 인터뷰에서 전언한 바대로 나도 고생해서 썼으니, 읽는 독자들도 고생을 좀 해야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이건 어불성설이다. 프로소설가의 소설을 읽으려면 프로독자라도 되어야 한다는 얘긴가? 프로소설가야 소설 쓰는 게 직업인 사람이니 소설 쓰는 일에 완벽을 기하는 게 당연하지만, 독자까지 책 읽는 일에 완벽을 기해가며 읽을 수는 없다. 독자들도 개개의 직업이 있고, 개개의 분야에서는 '프로'일 것이다. 김연수의 소설을 읽기 위해 '프로독자'로서의 자세까지 갖출 여유는 없을 것이다.  

각설하고 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더욱 실망스럽다.
이 책은 다분히 김연수 개인의 만족을 위해 씌어진 소설같다. 이 소설을 가장 환호하며 읽을 독자는 아마 김연수 자신이 아닐까 싶다. 때문에 김연수의 사고나 경험, 취향들과 공통분모를 지닌 독자들이라면 김연수와 함께 열렬히 환호를 하며 이 책을 읽었을지 모르겠다. 특히 작가와 비슷한 시대를, 비슷한 경험으로 살아온 비슷한 연배의 독자라면...

그게 아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나는 이 소설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김연수가 풀어놓는 '이야기들'과 그것들을 감싸고 있는 '주제 혹은 사상'에 감동할 수가 없었다. 나의 관심사와는 전혀 먼 이야기들이었던 것이다. 아니 어쩌면 내가 관심을 가질 법도 한 이야기들을 김연수라는 작가가 재미없게(내가 싫어하는 방식으로 불친절하게) 풀어낸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신문기사를 읽는 듯한 역사 속의 수많은 사건들과 구구절절 촌스런 사랑 타령이 짜증나거나 진부해서 하품이 나왔고, 심지어는 화도 났다. 도대체 언제까지 이런 신문기사 같은 이야기들만 주절댈 것인가, 발끈하는 심정으로 마지막까지 다 읽었다.

소설의 줄거리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대단히 간단하고, 복잡하게 말하자면 말 할 수가 없다. 역사의 거대한 홍수에 휩쓸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삶을 살아야 했던 개인의 고통과 탐구, 혹은 기록에 대한 이야기다. 온몸에 역사의 바퀴자국을 남긴 사람들의 절망과 고뇌와 분노와 성찰... 그러나 이런 이야기는 새롭지는 않다. 이런 식의 이야기는 그동안 한국 문학이 다양하게 시도를 해 온 것이다. 많은 작가들이 이런 식의 이야기를 썼고, 어떤 것은 수작이었고, 어떤 것은 태작에 불과했고, 어떤 것은 재미가 있었고, 어떤 것은 재미가 없었다. 이 소설도 여하튼 그런 것들 중의 하나로 기억될 것이다. 김연수라는 작가가 문학동네에 새로운 장편을 연재한다고 했을 때 나는 그 장편이 이런 이야기인 줄은 몰랐다. 

소설을 읽는 내내 떠오르는  소설들이 몇 있었다. 먼저 하루키의 여러 소설들이 떠올랐고,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의 '바람의 그림자'가 떠올랐고, 몇몇 한국 소설들이 떠올랐다.
낡은 사진 한장으로 시작하는 이 소설은 낡은 책 한권으로 시작하는 사폰의 '바람의 그림자'와 닮았다.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고, 서로 얽히고설키며 과거의 이야기가 복원되고, 잊혀졌던 역사가 수면위로 떠오르고, 모든 것을 아우르는 사랑 이야기가 있다는 점에서 두 소설은 유사하다. 그러나 읽히는 재미를 말하자면 '바람의 그림자'가 압도적이다. 김연수의 소설은 흡인력에서 상대가 안 된다. 물론 이야기도 완전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적인 추측인데, 김연수는 어쩌면 '바람의 그림자' 같은 소설을 쓰고 싶었던 게 아닐까 싶다. 끊이지 않고 끝없이 이어지는 방대한 이야기, 수많은 사람들이 등장하고 그들의 이야기가 지나온 역사 속에서 서로 맞물리며 가려졌던 진실이 조금씩 복원되고, 역사의 격랑 속에서 저마다의 삶과 사랑을 깨닫고, 책장을 덮고 나서도 그 잔상이 사라지지 않는 이야기. 그러나 내 추측이 맞다면 김연수의 이번 신작은 실패작이다. '바람의 그림자'는 그 방대한 분량에도 불구하고 소설 전반을 흐르는 미스터리와 추리기법이 마지막까지 독자의 긴장과 흥미를 최고조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김연수의 소설은 가장 중요한 '재미'가 없다. 그래서 그가 시도하고자 한 바들이 독자에게 온전히 먹혀들지 않는다. 이야기는 맥없이 풀리고 엉켜서 가닥을 잡을 수가 없고, 캐릭터들은 매력이 없다. 시종 딱딱하거나 진부한 분위기는 몇 장 읽다보면 절로 눈을 피로하게 만든다. 언뜻 하루키의 8,90년대 소설들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기도 했지만 역시 재미면에서 현격한 차이가 났다. 굳이 가장 비슷한 소설을 찾자면 내가 하루키 소설 중에서 가장 재미없게 읽은 '상실의 시대'와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이 떠오른다. 한국소설 가운데서는 수많은 후일담 문학들을 제치고 최근에 읽은 김영하의 '빛의 제국'이 떠오른 이유는 뭘까. 두 소설 사이에 뭔가 공통점이 있는 것 같다. 당장 떠오르는 것은 둘 다 재미없는 소설이라는 것 뿐이지만.  

하지만 나는 소설집 '내가 아직 아이였을때'를 읽었을 때는 김연수라는 작가에 환호하고 감동했었다. 무엇보다 그 소설집은 '재미'가 있었다. 잘 읽혔다. '내가 아직 아이였을때'는 '원미동 사람들', '카스테라' 등과 함께 내가 읽은 최고의 국내 소설집 중 하나다. 새로운 작가를 발견했다는 기쁨에 들떠 그의 책들을 사들이기 시작했고, 그렇게 사들인 책들이 책장에 다섯 권이나 꽂혀 있다. 그러나 이제 김연수는 더이상 '내가 아직 아이였을때' 같은 소설을 쓰지 않을 것임을 안다. 그의 소설은 점점 그곳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비슷한듯 하면서도 달라졌고, 이제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 된 것 같다. 앞으로 나올 김연수의 소설들은 장편이든 단편이든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과 더 가까운 소설들일 것이다. 다시 말해, 더 이상 내가 환호할 수도, 감동할 수도 없는 작품들을 계속 쓸 것이라는 얘기다. 그를 오래 지켜봐 온 독자의 한 사람으로 아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내가 싫어하는만큼 그를 더 좋아하게 될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분명히, 세상은 상대적인 것이니. 김연수의 이런 스타일에 환호하고 감동하는 독자들은 계속 그의 책을 사 읽겠지. 지금까지 올라온 리뷰들이 대부분 칭찬 일색인 것을 보면 확실히, 이런 스타일을 좋아하는 독자들도 있는 것 같다. 심지어 이 소설이 '재미있게', '금방' 읽혔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으니... 특히 평론가들은 더욱 극찬을 할 것 같다. 무슨무슨 문학상을 받게 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실망했다.
무엇보다도 '재미'가 없는 소설이라... 독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소설이란 생각이 들어... 다음 작품은 좀 더, 재미있게, 독자를 배려할 줄 아는 소설을 써 주었으면 싶다. 그래도 계속 자신이 힘겹게 썼으니, 독자도 힘겹게 읽어야 한다느니, 프로소설가의 작품을 이해하지 못 하거나, 프로소설의 작품에서 진정한 재미를 발견하지 못 하거나, 혹은 오로지 재미만을 추구하는 독자 따위는 필요없다고 한다면 더 할 말이 없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잘 쓰든, 나도 책을 사지 않으면 되니까.

* 좋아하는 작가의 신작을 읽고 워낙 큰 실망을 한 터라 주절주절 얘기가 길어졌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가 내가 좋아하는 소설을 써 주지 않아서 모종의 배신감 같은 게 느껴진 탓일테다. 여하튼 이렇게 또 한국 소설과 한 걸음 더 멀어지는 기분이 든다. 미미여사처럼 절대로 나를 배신하지 않을 거라는 확실한 신뢰를 주는 작가가, 우리나라에도 좀 있었으면 싶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