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슬롯 - 2007년 제3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신경진 지음 / 문이당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슬롯은 한 마디로 지겨운 소설이다.
먼저 짚고 넘어갈 부분은 심사위원 평 중의 하나다. 김형경은 이 소설을 두고 '도박과 여자에 관한 이야기의 모든 뜨거운 통념들을 조용히 배반한다'라고 말한다. 나는 조용히 묻고 싶다. 그럼 도대체 당신이 생각하는 도박과 여자에 관한 이야기의 모든 뜨거운 통념은 무엇이냐고? 이 평은 아무리 봐도 그저 생각없이 툭 던진 주례사 평에 지나지 않는다. 세번째 수상작의 면면을 살피기 위해 일년을 기다려온 독자들을 조용히 배반하는 평인 것이다.
미리 얘기하는데, 나는 이 소설에 대해서 단 한 마디도 칭찬을 해 줄 것이 없다. 우선 김형경이 한 저 평을 그대로 뒤집는 것이 나의 첫번째 평이 될 것이다.
즉, 이 소설 '슬롯'은
'당신이 도박과 여자에 관해 생각할 수 있는 뻔하디 뻔한 통념'
바로 그 이야기들이다.
바로 내가 생각하고 우려했던 그 뻔하디 뻔한 통념들이 조금의 배반도 없이 그대로, 오히려 짜증스러움만 더 가중되어 묵묵히 펼쳐지고 있었다.
도박과 여자에 관한 이야기란다. 그건 맞다. 그러나 지리멸렬한 도박과, 지리멸렬한 여자 이야기다. 밋밋하게 시작해서, 지루하게 전개되고, 짜증나게 늘어졌다가, 다시 밋밋하게 끝난다.
남자가 카지노로 간다. 헤어졌던 옛 애인과 함께.
그리고 무슨 일이 일어나냐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카지노를 어슬렁거리면서 슬롯머신을 당기거나 재미도 없고, 별 의미도 없어 보이는 지루한 인용만 늘어놓는다. 가끔씩 박식한 척도 하지만 매력적이지도 않고, 감탄스럽지도 않다.
매력있는 캐릭터는 한 명도 없고, 서사는 대단히 빈약하다.
몇 가지 일들이 일어나긴 하지만 죄다 시답잖은 것들 뿐이다.
그리고 정말 마음에 안드는 것은 작가의 여성 판타지다.
옛 애인이 아무 이유도 없이 남자와 카지노로 가고 한 방을 쓴다. 그 여자는 여전히 아름다운 모습이며 아직도 남자를 좋아하는 것 같다.
그리고 카지노에서 젊고, 역시 아름다운 여자를 새로이 만난다. 그 여자도 어쩐지 남자를 좋아하는 것 같다.
또, 일곱살짜리(도무지 일곱살짜리 같지 않은) 예쁘장한 꼬마 여자아이를 만난다. 그 여자도 어쩐지 남자를 좋아하는 것 같다.
또, 꼬마 여자아이의 엄마(역시 아름다운)도 만난다. 그 여자도 어쩐지 남자를 좋아하는 것 같다. 심지어는 술에 취해서 함께 호텔까지 간다.
장난하나, 지금?
세상 여자들이 애,어른 할 것없이 죄다 자기를 좋아한단 말인가? 그렇다고 남자가 대단한 미남도, 부자도 아니고, 성격이 좋거나, 유머러스한 것도 아닌데...?
이렇게 되면 이건 판타지가 아닌가? 웃기지도 않는 판타지다. 어설프게 하루키를 흉내낸 것도 같은데 하루키 소설만의 멋과 매력이 모두 빠지고, 분위기가 괴상하게 변질되면 이런 지루하고 짜증나는 판타지가 나올지 모르겠다.
대화를 통해 드러나는 여자들의 심리도 이해할 수 없거나, 이해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 짜증날 뿐더러 여자들의 입에서 튀어나오는 대사 자체도 딴에는 쿨하게 보이려 애썼는지 몰라도 식상함과 어색함이 반반일 뿐이었다. 특히 일곱살짜리 아이 명혜의 말이나 행동은 상당히 유치하고(어른스러운 게 아니라), 어색하고, 거북스러웠다. 꼬마아이를 왜 그런 식으로 만들었는지 작가의 의도가 궁금하지만, 기실 알고 싶지도 않다. 그리고 여자들에게 부여되는 각자의 삶과 사연들이 너무도 뻔한 것이거나, 재미없는 것이라 굳이 소설이라는 서사장르를 통해 그것들을 구현할 필요가 있었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였다.
뻔하거나 재미없거나... 이 소설을 이렇게 표현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미실에서 크게 실망했다가, 아내가 결혼했다에서 가까스로 만회가 되었는데, 슬롯에서 다시 미실 이상의 실망을 하게 된다. 단단히 실망을 했다. 실망이란 작가와 심사위원 모두에 대한 것이다.
정녕 이 작품보다 더 뛰어난 작품이 없었단 말인가? 이 작품보다 더 재미있는 작품이 정말로 없었단 말인가? 1억 고료의 세계 문학상 응모작 수준이 그 정도 밖에 안 되었단 말인가? 그렇다면 이 상의 존폐여부를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재미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심사위원들은 가독성이라는 말로 이 소설을 칭찬하고 있다. 가독성이라는 말이, 특히 최근의 국내 문학상 심사위원들의 입에서 너무 쉽게 나오는 게 아닌가 싶다. 뽑아놓고는 무조건 한다는 소리가 가독성 있는 작품이란다. 그렇게 가독성이 뛰어난 작품인데 왜 안 팔리는 것일까? 왜 일본 소설들에 줄창 밀리고 있는 것일까? 왜 독자들의 외면을 받을까?
가독성이라는 말을 함부로 쓰지 않았으면 한다.
이 소설은 근자에 읽은 가장 실망스런 한국소설로 기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