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내지 마 민음사 모던 클래식 3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삶, 그리고 사랑의 유한성에 대해...




- '남아 있는 나날', '파묻힌 거인', '클라라와 태양'에 이어 네 번째로 읽은 가즈오 이시구로의 작품이었다.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으로 추억을 더듬고 기억을 이어붙이며 그때는 모르고 지나쳤던 진실을 뒤늦게 상기하며 후회하고 반성하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이것은 '남아 있는 나날'의 전개 방식과 유사했다. '남아 있는 나날'은 노년의 남자가, '나를 보내지 마'는 아직 서른 살도 안 된 젊은 여자가 과거를 추억하는데 놀랍게도 두 사람에게 남아 있는 나날이 거의 없다는 공통점을 지니면서 이것이 두 작품의 차별점이 되기도 하며, '나를 보내지 마'를 관통하는 주제의식이 엿보이는 부분이기도 하다. 


간병인으로 일하는 29살의 여성 캐시. 그녀는 복제인간이다. 다른 사람에게 장기를 기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육성(혹은 사육)되어 온 가짜 인간. 캐시는 복제인간 학교에서 지냈던 옛 시절을 추억한다. 그녀에게는 남아 있는 나날이 많지 않기에 마음의 눈은 늘 과거로 향한다. 

특수한 목적으로 세상과 격리되어 지어진 헤일셤에서 보냈던 어린 시절, 그리고 기증자가 되기 위한 대기의 장소였던 코티지에서 보낸 청년 시절 캐시의 곁에는 늘 토미와 루스라는 친구가 있었다. 더없이 가깝고 정다웠던 세 사람의 관계에 금이 가기 시작한 것은 '애정' 때문이었다. 캐시와 토미가 서로를 애틋하게 생각하는 순간 루스의 마음속에서 질투가, 그리고 증오의 불씨가 타오른다. 루스는 캐시에게서 토미를 빼앗고, 상처받은 캐시는 간병인을 지원하여 토미와 루스의 곁을 떠난다. 

먼 훗날 10년 넘게 간병인으로 살아가며 숱한 기증자를 간호하고 그들의 최후를 지켜본 캐시는 어느 날 첫 번째 장기 기증을 마치고 병약해진 루스와 해후한다. 그리고 루스의 제안으로 토미와도 재회한다. 다시 만난 세 사람은 서로에게 상처 줬던 과거를 반성하고 정리한 후, 캐시와 토미는 짧지만 아직 남은 미래를 위해 굳은 결심을 한다. 

그러나 복제인간이 미래를 꿈꾼다는 게 가능한 일일까. 그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이 짧게라도 주어질까.


SF 적인 설정으로 시작하지만 소설은 들뜨지 않고 매우 차분하며 현실적이다. 느릿하고 평온한 분위기로 흘러가면서도 이야기는 가혹할 정도로 잔인하고 어둡다. 복제인간의 운명적 한계와 생의 유한성을 그린 것이 하나의 축이라면 다른 한 축에는 '사랑 이야기'가 담겨 있다. 사랑이라는 감정 역시 복제인간의 운명과 마찬가지로 한계와 유한성을 지니고 있다. 사랑의 감정을 제대로 느껴보기도 전에 사랑은 이미 끝나 있거나, 사랑이라고 생각했던 감정이 사실은 사랑이 아닌 경우도 있다. 열렬히 사랑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열렬히 미워하거나 집착했던 것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모든 사랑의 감정들이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다. 

애틋하고 열렬했던 감정은 물론이고 질투, 시기, 증오의 감정도 세월이 지나면 빛을 바란다. 생명력을 잃고 다른 감정이 되거나 먼지처럼 흩어져 사라진다. 겹겹이 밀려오는 쓸쓸함의 파도 속에 모두 묻히고 만다. 그것은 역시 생의 유한성이 주는 쓸쓸함과 이어지는 것이다. 

루스가 간병인으로 온 캐시에게 지난날을 반성하며 용서를 구하는 장면은 그래서 보는 이를 마음 아프게 한다. 그때 루스는 눈물을 흘리지만 그 눈물의 진짜 의미는 생의 마감을 앞둔 체념과 절망에서 오는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생의 유한성이 사랑의 종말을 고한 것이다. 루스가 보통의 인간처럼 평범한 29살의 여자였다면 토미를 포기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토미에 대한 사랑이 질투와 증오, 집착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면서도 포기하지 않았을 것이다. 루스의 사과를 받아들인 후 캐시는 루스의 뜻대로 토미와 함께 미래를 도모하는데 그 모습을 지켜본 루스의 감정은 어땠을까. 책을 읽은 후 곧바로 동명의 영화도 감상했는데 바로 이 장면에서 루스를 연기한 키이라 나이틀리의 눈빛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 끝나가는 생에 대한 체념, 혼자 남겨진 절망, 그리고 눈앞의 연인에 대한 아직도 남은 한 줌 질투와 증오, 미련과 집착을 끝까지 버리지 못하는 자기혐오의 감정까지, 만감이 교차하는 그 눈빛을 키이라 나이틀리는 단 한 장면에서 훌륭하게 보여준다. 


복제인간을 주인공으로 설정한 순간부터 비극은 예견된 일이다. 결국은 장기를 모두 떼어내고 복제인간은 껍데기만 남아 생을 마감한다. 그것이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캐시조차도 간병인으로서의 역할은 끝나간다. 그녀도 곧 간병인에서 기증자로 바뀐다. 누군가를 위해 장기를 모두 떼어낼 날이 머지않은 것이다. 그래서 이들에게 사랑은 매우 중요한 감정이 되고, 또 그래서 이들에게 사랑은 덧없는 감정이 되기도 한다. 


소설 후반부. 진정으로 사랑하는 커플에게는 기증 집행이 몇 년간 연기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캐시와 토미는 헤일셤에서 학생들의 미술 작품을 수집해가던 갤러리의 마담을 찾아간다. 그녀에게 그런 권한이 있다고 믿은 두 사람은 마담을 설득하러 가는 것이다. 합격, 불합격의 당락을 기다리는 수험생처럼 희망과 불안으로 상기된 얼굴의 두 사람이 마담의 집으로 들어서는 장면에서부터 깊은 슬픔이 밀려왔다. 이미 세 번의 기증을 마친 토미는 몸이 온전치 않다. 캐시 또한 머지않아 기증자가 될 운명이다. 그럼에도 두 사람은 다만 얼마간의 유예를 꿈꾼다. 얼마간의 시간을, 얼마간의 생을, 얼마간의 사랑을 꿈꾼다. 이들에게 희망이 없다는 것을 어쩌면 독자들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그곳에서 마담은 두 사람의 기대를 완전히 깨뜨리는 진실을 알려준다. 복제인간에게는 사랑도, 존엄도 허락되지 않는 것이다. 허락된다면 제한된 운명 안에서만, 한없이 짧은 시간 안에서만 허락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복제인간에게 장기를 기증받고 몇 년의 삶을 더 연장한 인간의 사랑과 삶은 어떨까.

캐시와 루스, 토미가 겪은 상처와 절망, 쓸쓸한 체념의 감정들이 복제인간이 아닌 인간에게는 상관없는 것들일까.

남의 장기를 자신의 몸속에 집어넣으면서까지도 생을 유지하고 싶은 욕망, 생이 유지되는 순간까지도 사랑을 갈구하고 싶은 욕망. 생과 사랑에 대한 욕망과 집착은 인간이나 복제인간이나 마찬가지다. 그리고 복제인간도, 인간도 결국은 죽는다. 죽음을 생각하면 생은 덧없고, 사랑도 덧없다. 그러나 오히려 유한성을 알기에 생은 빛날 수 있고, 사랑은 더욱 빛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