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육에 이르는 병 ㅣ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아비코 다케마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시공사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의 참혹한 살인 묘사나 놀라운 반전에 대해서는 할 말이 별로 없다. 이미 많은 이들이 언급을 해 왔을 뿐더러 그냥 대단하다라는 표현말고, 그 이상의 말을 했다가는 스포일러가 될 수 있어 두렵기까지하니 말이다.
살아있는 여자는 사랑하지 못 하는 남자가 있다. 그래서 그는 여자를 죽인다. 죽이고, 시체를 훼손하고 절단하며 궁극의 사랑을 꿈꾼다. 당연히 피가 낭자하고, 끔찍한 살육의 향연이 펼쳐진다. 세밀하고 사실적인 살인 묘사는 '배틀로얄'이나 킹의 소설 저리가라 할 정도로 간담을 서늘케 하며, 심약자는 끝까지 읽기 힘들만큼 경악스럽다.
아들이 살인자일 것이라 의심하며 지켜보는 엄마와, 살인자를 쫓는 전직 형사가 있다. 이들의 이야기는 시차를 보이며 진행되고, 마지막 반전을 향해 숨가쁘게 교차된다.
그리고 최후의 한 페이지에서 대반전이 펼쳐진다. 그 반전으로 소설은 새롭게 시작된다. 다시 읽히고, 다시 해석된다. 그 대단한 반전은 미스터리 문학계의 전설로 기억될 것이다.
살육과 반전에 대한 얘기는 접어두고, 나는 여기서 이런 고찰을 해 본다. 이 세상에 진정한 사랑이란 과연 존재할까? 여기서 사랑이란, 다른 의미의 사랑이 아닌 바로 남녀 사이의 사랑을 말한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헌신적인 사랑(모성애, 부성애) 같은 것을 말하는 게 아니다.
사랑을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서로에 대한 사랑이 진실하다고 믿는다. 아무도 자신들의 사랑을 '진정한 사랑은 아니다'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진정으로 사랑하기 때문에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고, 같은 침대를 쓰고, 물건을 공유하고, 장소를 공유하고, 시간을 공유하고... 입으로는 수도 없이 말한다. 사랑해! 라고...
진심으로, 진정으로, 사랑한다고 말해놓고, 머지않아 헤어지는 이들도 있다. 공유했던 모든 것들을 다시 나누고, 각자의 몫을 챙기고, 헤어진다. 등을 돌리고, 다른 방향을 향해 걸어간다. 멀어진다. 물건도, 장소도, 감정도 두 사람이 만나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져 있다. 그렇다면, 지난날 그들이 사랑이라 확신했던, 그 사랑은 무엇인가? 그 때의 사랑을 진정한 사랑이라 할 수 있을까?
소설을 읽으며 살이 찢어지고, 절단되는 참혹한 살인의 과정과, 살인자의 극단적인 심리를 따라가다 보면 사랑이 주는 일반적인 의미에 대해 회의가 느껴진다.
과연 남자가(여자가) 다른 한 여자를(남자를)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는 일이 가능한 일일까... 어쩌면 사랑이라는 감정은 인간에게 허락되지 않은 감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도 동물인 것이다. 신이 다른 동물들을 모두 제쳐두고 하필 인간이라는 동물에게만 그런 고귀한 축복을 내려줬을 리가 있을까... 인간이라는 동물이 그런 축복을 누릴만한 가치가 있는 동물인가...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은 어쩌면 진정한 의미의 사랑이 아닐 지도 모른다. 그저 사랑일거라고 맹신하거나, 혹은 사랑일거라고 의심하면서, 또는 사랑일거라고 착각하면서, 그냥 몸을 맞대고 그렇게 살아가는 것일 뿐이다. 그냥 몸을 맞대고 그렇게 살다보면, 그냥 몸을 맞대고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다 사랑하기 때문이 아니냐는 결과론적 사고에 사로잡히게 된다.
일종의 판타지에 젖어드는 것이다. 그것은 실질적인 사랑이 아니라, 사랑일거라는 환상이고, 믿음일 뿐이다. 즉 사랑의 실체는 없은데, 그 환상과 믿음만 두둑한 그런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래서 환상과 믿음이 걷히면 아무 것도 남는 게 없다. 그러니 싸움을 하게 되고, 다투고, 원망하고, 시기하고, 질투하고, 실망하고, 후회하고, 이혼을 하게 되고, 사랑하지 않았다느니 하는 소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진정한 사랑을 하게 된다면, 사랑하지 않았다는 말은 나올 수가 없다고 본다. 진정한 사랑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결코 끊어지지 않고, 결코 중단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
영원불변의 완전한 사랑. 문득 어느 영화의 카피가 생각난다. '그런 사랑은 없다' 그래서 인간 세상은 항상 문제 투성이가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