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을 잘 맡긴다는 것 - 리더가 일 잘하는 것은 쓸모없고, 일 잘 맡기는 것이 중요하다 ㅣ CEO의 서재 23
아사노 스스무 지음, 김정환 옮김 / 센시오 / 2020년 5월
평점 :

일을 잘 맡긴다는 것,
How does a leader work? 아사노 스스무, 센시오
일을 잘 하는 리더와 일을 잘 맡기는 리더 중 누가 더 능력이 있을까? 예전에는 일을 잘 하는 리더를 더 능력있는 리더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리더가 되고 나서 보니 일을 잘 맡기는 리더라 더 능력있는 리더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을 맡기려면 일단 맡기려는 업무에 대해 잘 알아야하고, 적절한 사람을 잘 선택해서 일을 맡겨야하고, 일을 잘하고 있는지 관리감독하고, 피드백해줘야햐니 내가 직접 일을 하는 것보다 어쩌면 몇배는 더 어려운 일일 수도 있습니다. 혼자 업무를 떠 안고 하는 시대는 지났으니, 팀웍을 이루어 일을 나누어 주고 도와가며 해야합니다. 하지만 팀원들에게 일을 맡기면 번번히 기한내에 해내지 못하고 결국 내가 다시 해야하는 일이 생기니 쉽게 일을 놓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팀장만 바쁘고, 팀원들은 상대적으로 일이 없어 평온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 책을 통해 플레이어형 리더를 탈출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습니다.
일을 맡기기 난감한 직원에게 일을 맡기려면 5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원칙 1은 부하직원을 가르치는 것은 성과를 올리기 위한 수단이지 목적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업무를 완수하는 것이 우선임을 알아야합니다. 부하 직원의 능력을 냉정이 파악하고, 일을 맡길 때는 그의 능력에 맞거나 낮은 수준의 업무를 맡겨야 한다고 합니다. 원칙2는 100퍼센트 성과를 기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시간을 내어 여러번 가르쳐부었으니 잘 할 것이라는 것은 리더의 착각입니다. 원칙3은 한번은 개선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4번째 원칙은 일을 시키지 난감한 직원에게 너무 많은 시간을 쏟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차라리 그 시간에 기대치가 높은 우수한 직원에게 공을 들인다면 빨리 리더를 보좌하는 위치에 오르게 할 수 있고, 점 더 높은 수준의 업무를 처리하며 업무에 흥미와 도전의식을 갖게 되므로, 그 직원은 조직에 대한 책임감과 소속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마지막 원칙 5는 인사평가에 확실히 반영하라는 것입니다.
연구소에 있을 때 석사연구원을 가르친 적이 있습니다. 분석기기를 다루어봤다고 했는데, 브랜드가 달라서 사용법을 모른다기에 사용법을 친절히 알려주었는데, 계속 버벅대기에 OJT 교육을 제대로 해주고, 다시 엔지니어를 불러서 교육을 하고, 급기야는 1박2일 기기교육을 보내주었는데도 1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기기분석업무를 해 내지 못했습니다. 일주일이면 끝날 일을 한달이 지나도록 진전이 없어 황당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사람의 특성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연구원의 경우도 3년차가 되어서야, 셋팅되어 있는 프로젝트에 참여해 겨우겨우 일을 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성장을 하는데에는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자꾸 잊어 버립니다. 그 사실을 잊어버리면 신입 직원이 들어올 때마다 실망하게 된다고 하니 명심해야겠습니다.
이 책에는 8가지 유형별 직원에게 일을 잘 맡기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유형별 특징이 어찌나 잘 분류되어 있던지 유형별 특징을 읽으니 직원들의 얼굴이 하나둘씩 떠 올랐습니다. 특히 4가지 유형에 대한 분석과 대처법은 매우 유용하게 다가 왔습니다.
무모하거나 소심한 철부지형 사원은 그들이 해 온 업무를 끝까지 해낸 경험 속에서 업무의 의미를 느낀다고 합니다. 리더는 이 사원이 끝까지 해낼 수 있는 수준의 업무를 맡기고, 보고하는 시점까지 알려준 뒤에 어떻게든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늘 도움을 받는 것에 익숙한 사람은 말없이 도와주기 보다는 주위 사람들의 노력과 인건비 등 비용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업무를 끝까지 완수해내지 못한다면 다음번에는 난이도가 더 낮은 일을 맡기는 것이 좋습니다.
내 일만 하는 초성실 터널 시야형 사원에게는 지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업무에서 매우 좁은 범위임을 이해시켜야 합니다. 팀이니 주위 사람들을 도와가며 일해야한다는 사실을 머리로 이해시키기 보다는 몸에 배도록 함께 일할 수 있는 분위기와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일을 맡겼다하면 사고를 치는 트러블메이커형 사원은 문제를 만들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의 업무만을 맡겨야 합니다. 이런 사원은 시간관리가 습관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업무계획서를 작성하게 해서 차근차근 일을 진행하도록 해야합니다.
대답은 하지만 행동은 하지 않는 언행불일치형 사원은 대답은 잘 하는데 정작 일을 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주의를 주어도 마감일이 다가올 때까지도 일을 처리하지 않아 일을 시킨 제가 오히려 똥줄이 타곤 했습니다. 이런 유형은 최종마감일을 조금 더 앞에 설정하고, 중간 목표의 일정을 세밀하게 설정한 다음 그때끄때 확인해야합니다.
8가지 유형의 직원들 중 절반이 나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어서 특히 관심있게 읽어 보았습니다. 유형별로 직원들에게 일을 맡길 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방법을 알고나니 일을 맡기는 것이 더 쉬워졌습니다. 또 언제 어떻게 진행사항을 체크하며 관리해야할 지 알게되니 리더로서의 책임감도 훨씬 가벼워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제부터는 혼자 일을 싸짊어지고 일하는 리더가 아니라, 직원들에 일을 맡기며 그들의 역량을 키워주어서 리더를 보좌할 수 있도록 하고, 나중에는 새로운 리더로 세울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