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사를 움직이는 12가지 힘 - 공화정·회복탄력성·공공성·대립과 경쟁·영웅과 황제·후계 구도·선정과 악정·5현재·혼돈·군인황제·유일신교·멸망
모토무라 료지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3년 11월
평점 :
저자도 언급하고 있지만 이 책은 로마의 역사를 다루는 로마 통사가 아니라 로마사를 '읽는법' 을 기록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쓰면서 두가지 질문을 모토로 삼았는데 하나는 '로마는 어떻게 대 제국이 될 수 있었을까' 이고 또하나는 '로마 제국은 왜 멸망했을까' 이다.
그리고 독자들에게 이 책을 통해 그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얻어가기를 희망한다.
책은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1부와 2부는 로마의 시작과 상장에 관한 이야기고 3부와 4부는 쇠퇴와 멸망을 다룬다.
먼저 당시 수많은 폴리스국가들 가운데
왜 유독 로마만이 거대제국으로 발전했느냐 하는 질문에 대해서 첫째로
정치 제도를 들었다.
당시 주변 국가들 중 가장 진보했던 그리스의 정치 체제가 항상 독재, 귀족정, 민주정이라는 세 요소 중 하나에 치중되어 불안했던 반면 로마는 하나의 정치체제 속에 독재와 원로원과 민회라는 세가지 요소를 배치하여 견제와 균형을 이루었던 점을 강조한다.
둘째로 공공의식이다. 로마의 정치체제를 공화정 파시즘이라고 한다. 고대 사회는 타국을 침공해 국가에 이득된다면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느나라나 선제공격이 가능 했을 텐데 왜 로마만 패권을 장악했는가 라는 문제다.
그것은 군인들의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었다. 한가지 예로 로마는 '데키 마티오' 라는 처벌법이 있었다. 한사람의 잘못이라도 제비 뽑기식으로 전체의 십분의 일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처벌했다. 이렇게 개인보다 집단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단결력을 키운 것이 거대제국으로 성장하게 된 발판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3부에서 로마가 쇠퇴로 접어들기 전 가장 행복했던 '5현제 시대'가 나온다. 이 시기는 이전에 비해 전쟁이 많이 줄어들었고 팽창 보다는 관리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민생을 많이 돌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뿐 최악의군인황제 시대를 맞는다.
4부에서는 약 50년동안 70명의 황제가 난립하는 황제 쟁탈기가 계속된다
이 과정에서 로마는 점점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고 변경 밖에서는 게르만족의 이동이 시작되었다.
그 동안 로마의 멸망은 게르만족의 침입과 내분때문이라고 알고 있었지만 저자는
'로마인이 관용을 상실했기 때문' 이라는 또 다른 견해를 소개하면서 그 쪽에 더 많은 무게를 둔다.
관용은 로마가 다른 국가를 넘어서 제국으로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다. 스키피오와 카이사르가 관용의 대표적인 모범을 보였지만 로마인의 의식구조가 동포 뿐 만아니라 이민족에게도 공평하게 관용을 베풀었다.
하지만 로마 말기 게르만 집단의 대이동 후에는 관용을 상실했고 이것이 폭동의 주 원인일 것이라고 저자는 내다보았다.
처음 책을 시작하면서 질문한 로마의 성장 원인과 멸망한 이유를 이렇게 정리했다.
책을 보면서 인류 역사상 위대한 제국도 인간의 기본적 욕망에서 비롯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락쿠스형제는 가난한자들을 위한 토지 개혁은 라티푼디움으로 부를 획득한 귀족들의 반대에 부딪히고 결국 참살되고 이어서 개혁을 추진했던 가이우스도 반대파의 수세에 밀려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렇다고 변화가 전현 없었던 것은 아니다. 약자들이 그들의 정당한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서는 투쟁이 있어야 했고 피를 흘렸다. '동맹시' 전쟁 같은 경우가 그 예다.
하지만 늘 이러한 댓가를 지불해야만 하는 세상이 안타깝다.
로마의 역사는 현실에서도 반복되기에 희망적이기 보다는 무력감이 든다. 역사는 늘 강자의 손아귀에서 놀아났다.
권력을 지키기 위해 형제들과 측근들을 살해하고 반대로 측근이 최고 권력자 암살하고 권력을 찬탈하는 행위는 현대 정치에서도 그대로 반영된다.
또한 권력자가 평민들을 위한 정책은 늘 그들의 권좌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었고 오늘날도 이러한 구조는 바뀌지 않는다.
너무 비관적으로 평가 했는지도 모르겠다. 사람마다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본다.
그저 인공지능 시대를 앞두고 인간의 삶에 구조적인 재편성을 기대할 뿐이다.
이 책은 저자 말대로 '로마사'를 읽을 수 있는 눈을 길러준다.
사건 중심보다는 아니라 사건 배후의 이야기나 사건과 사건 사이에 표면화되지 않은 연결고리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로마의 역사에 관심이 있거나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가 있다면 매우 유익할 것 같다
이 서평은 출판사 서평행사에 참여하여 제공받은 책으로 자의적으로 작성했음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