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 인생 편의점 (양장) - 내 삶의 철학이 되는 지혜의 모든 것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펜하우어는 내가 태어나서 처음 관심을 갖었던 철학자다. 중 3 때 서점에서 <쇼펜하우어 인생론>을 구입해서 읽었는데 그때 그 책에서 읽었던 문구가 아직도 뇌리 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 인생은 수지 맞는 사업이 아니다 "

앞 뒤의 문맥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이 문장만 끌어 안고 살다보니 삶이 자연스레 부정적으로 흘러갔다.

이번에 다시 만난 쇼펜하우어 책은 인생론에서 인생편의점으로 제목이 바뀌었다. 그리고 '인생은 수지맞는 사업이 아니다' 라는 말은 '정신적으로 뛰어나면 그는 이 사회에서는 이득보다 손해를 더 많이 보게 보게 마련이다. 이런 밑지는 장사로 결국 인생에서도 손해만 보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다소 장황한 설명으로 대치되었다.

어렸을 때에는 부정적 이야기를 긍정적 관점에서 바라 볼 만한 소양이나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 받아들였던 같다.

쇼펜하우어는 인생의 슬픔과 고통을 덮거나 변명하지 않고 들추어 낸다.

그러다 보니 부정적으로 보일 수 밖에 없다.

친구를 위해 죽어 줄 수도 있다고 떠드는 우리에게 쇼펜하우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친구에게 자기가 최근에 겪은 큰 불행에 관하여 이야기 하거나 자기의 개인적인 약점을 솔직히 말 할 때처럼 그를 즐겁게 하는 일은 없다"

이러한 선언은 우리를 얼어붙게 만든다.

그는 고독을 찬양하고 교제를 천대시 한다. " 모든 인간의 찌꺼기들은 사교적이다 " 거의 독설에 가까운 이야기다.

사교에 대한 부정적 넋두리는 책이 끝날 때 까지 계속된다.

이런 이야기들은 모두 홀로서기를 강조하기 위한 들러리들이다.

최근 1인 가구가 늘면서 외로움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요즈음 쇼펜하우어의 인간관계론은 인기를 끌 수 밖에 없다.

쇼펜하우어를 염세주의 철학자라 부를 수 밖에 없는 것은 그의 이야기들이 기본적으로 부정적이다. 부정에서 긍정을 찾아내는 일은 독자의 몫이다.

그는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비통한 운명에 놓여 있으며, 세상에 대해 나타나는 재앙이 얼마나 많은가를 언제나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 재난으로부터 실제 이상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고 한다.

불행을 염두에 둠으로써 치명적인 불행을 감당할 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쇼펜하우어에게 삶은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야 할 의무 같은 것이다.

그는 " 사람은 스스로 인생을 즐긴 기쁨의 가지 수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가 무난히 넘긴 가지수에 의해 계산서를 작성해야 할 것이다" 라고 말했다.

그리고 쇼펜하우어는 "인간의 6분의 5는 선천적으로 보잘 것 없는 존재이며, 태어나면서 도덕적으로나 혹은 지성적 범주에서 벗어나게 되어 있다" 라고 함으로써 세상에 나쁜 사람보다 좋은 사람이 더 많다는 보통 사람들의 환상을 깬다.

따라서 가능한 초면인 사람에게는 너무 호의를 베풀지 말라고 충고한다.

다음 이야기는 프로이트가 영감을 받았을 만한 대목이다.

"어떤 하나의 특징을 내세워 그것을 자랑하는 것은 그가 그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 고백하는 것이다"

쇼펜하우어의 인생편의점에는 삶에 필요한 모든 도구들이 구비되어 있다. 후대의 저명한 학자들도 그에게서 용기와 영감을 얻었다는 말이 그져 폼으로하는 이야기가 아님을 확실히 느껴진다.

그런데 나에게는 용기보다 무력감이 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인간관이나 삶의 방식이 쇼펜하우어가 내다보는 세상에서는 무용지물이라고 말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

그동안 종교 생활을 하면 체화된 가치관들은 실핏줄까지 채워져 있는데

이제와서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고 하니 맥이 풀리는 것이다.

수십년 다져진 삶의 스타일을 변경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쇼펜하우어의 처세술이 나를 완전히 절벽으로 몰아부쳤다.

타협점을 찾아야겠다.

이 서평은 출판사 서평행사에 참여하여 제공받은 책으로 자유롭게 작성했음을 알립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4-01-25 0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쇼펜하우어 철학관이 절대적인 지식은 아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