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먼 가라사대, 우리는 모두 별이다 - 2024 뉴베리 아너상
에린 보우 지음, 천미나 옮김 / 밝은미래 / 2024년 8월
평점 :
사이먼 가라사대, 우리는 모두 별이다
(2024년 뉴베리아너상 수상작, 양장)
에린 보우 글
천미나 번역
밝은미래
2024년 8월 8일
472쪽
17,500원
분류 - 초등 고학년 창작동화
해마다 꼭 읽는 책이 있다. 바로 뉴베리상을 수상한 책이다. 뉴베리상은 무엇인가?
뉴베리상이란 존 뉴베리상, 혹은 뉴베리 상(Newbery Medal)은 매년 미국 도서관 협회가 수여하는 미국 아동 도서를 위한 문학상이다.
그림책을 대상으로 한 칼데콧상과 함께 미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아동문학상으로 여겨진다.
헌데 헷갈리는 부분도 있다. 뉴베리상과 뷰베리 아너상이다. 뉴베리상과 뉴베리 아너상의 차이는 무엇일까?
뉴베리상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미국 문학에 지대하게 공헌한˝ 작품에 매년 수여되며, 뉴베리 상 이외에도 경쟁작을 몇 개 선정해 뉴베리 아너즈 북(Honors Book)이라는 호칭을 부여하기도 한다. 뉴베리 상은 금색, 뉴베리 아너즈 북은 은색으로 구분된다.
뉴베리 상은 명망 높은 상이기에 수상작은 책 표지에 큼지막하게 뉴베리 메달을 달아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참고로 위에 나온 것처럼 뉴베리 상(Medal)은 금색으로, 뉴베리 아너즈(Honors) 는 은색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또한 뉴베리 상을 수상한 작품들은 명작임을 인정받은 작품들이므로 국내에서 영어 교육과 독서논술으로도 아주 많이 읽히고 있다.
이번에 만나게 된 책은 2024년 뉴베리 아너상을 수상한 작품인 <사이먼 가라사대, 우리는 모두 별이다>이다.
주인공 사이먼은 12살 남자아이이다.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 아이라면 좋으련만, 사이먼은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 사이먼은 새로운 마을로 이사를 왔다. 베브래스카주의 시골마을인 그린 앤 베이잇으로 이사를 온다. 이 마을은 특별하다. 바로 전파를 방출하면 안된다는 조약을 가지고 있다. 라디오 말고는 어떤 전자제품을 사용해서는 안되는 희한한 마을에 이사를 오게 된 것이다.
사이먼은 왜 이곳으로 이사를 오게 된 것일까?
책을 읽으면서 점차적으로 알게 되는 사이먼의 이야기에 집중해보자.
이 마을에는 외계인의 신호를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함께 전파를 차단하고 사는 주민들이 섞여 살고 있다. 완전히 상반된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작가는 이 장소로 왜 사이먼을 보냈을까. 스포될까봐 다 이야기하지는 못하겠지만, 어떤 사건에서 살아남은 사이먼은 나름의 삶을 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새로운 마을에서 친구들과 새롭게 시작한다.
이 이야기는 우리나라 아이들에게 완벽한 공감을 일으키지 못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사이먼이 겪었던 일들을 간접체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사이먼의 트라우마가 아니라, 트라우마라는 의미로 좀 더 확대해석을 해보면 아이들이 겪었거나, 겪게 될지도 모를 트라우마에 어떤 식으로 대처하면 좋을지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은 작가의 아이들이 실제로 겪은 이야기를 작가가 쓴 것으로 완전한 허구는 아니기에 좀 더 사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두툼한 두께에 아이의 아픔과 기쁨을 잘 녹여냈다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 중학년 보다는 초등 고학년 아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트라우마를 겪지 않은 아이가 이 책을 이해하기란 좀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직감 때문이다.
트라우마, 혹은 아픈 상처를 잊기 위해 우리는 어떤 행동과 생각을 하며 살아가야 할까? 아이들은 그것을 바로 해소할 수 있을까? 현재를 잘 살아가기 위해 지나온 과거와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숙제거리가 생겼다.
사이먼이 말하는 우리가 별이라는 말의 의미를 되새겨본다.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06/pimg_710725136442293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906/pimg_710725136442293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