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의 자존감 공부 - 천 번을 미안해도 나는 엄마다
김미경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나 행복하길 원한다. 본인은 물론이고 가족 모두다 행복했으면 하고 원한다.
그래서 정작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누군가에게 질문을 한다면 좋은 직장을
가져야 하고 좋은 대학에 가야 하고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하지만 책에서는 말한다. 행복해지려면 행복한 아이로 키우려면 아이가 자신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 자신을 의심하고 부정하고 특히 부모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아이는 성장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믿음을 키울 수 없다. 반대로 스스로를 믿는
아이는 소신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고 자신 있는 사람이 되어 행복한 삶을 산다고
말이다. 자기에 대한 확신, 즉 나는 아주 괜찮은 사람이다라는 믿음이 바로 자존감
이다. 공부를 잘하면 대학에는 잘 갈 수 있지만 자존감이라는 과목을 잘하면 삶에
행복을 일궈낼 수 있다. 공부를 잘 한다는 것은 세상에 존재하는 천가지 재능 중
하나일 뿐 공부를 잘한다고 나머지도 잘하라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엄마는 본인과 아이를 위해서 자존감을 공부해야 한다. 이런 자존감은 사실 어른이나
아이나 크게 다를 것은 없다. 몸이 크려면 영양분이 필요하듯이 자존감은 마음에
양분과 다름없다.
저자인 김미경씨는 누구나 알다시피 강연자로서 그리고 워킹맘으로서 치열하게 살아왔다.
나름의 철학과 소신으로 세 자녀를 키우며 헌신해왔지만 어느날 둘째 아이의 고등학교
자퇴로 인해 고민하고 또 고민해 엄마의 역할이 무엇인지 무엇이 자녀를 위한 것인지
되돌아 보게 되었다고한다. 저자의 육아의 시작부터 아이가 자라고 커가면서 엄마로서의
노릇과 그 고민과 경험을 통해 깨닫게 된 자녀교육의 노하우를 보여준다.
자존감은 엄마 아빠는 물론이고 누구에게나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자녀를 교육할 때도 물론이다. 아무리 좋은 교육법이 있더라도 엄마가 흔들리거나
약하면 자녀도 그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아이에게 문제라는 상황이
다가왔을때 엄마의 시선인 아닌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봐야 그 마음을 바라볼수 있고
아이의 실패에 대해는 아이에게 좋은 경험이다, 이만하면 대성공이다라고 말해주는
엄마의 의연함이 아이의 자신감을 상승시키고 앞으로도 전진할 수 있는 양분이 된다.
저자의 시원한 입담과 당당한 모습을 책을 통해 읽어보니 글 하나하나에서 저자의
모습이 떠오르면서 공감할 수 있었다. 자존감 공부를 위한 훌륭한 지침서이며 무엇이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