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MacMillan English Dictionary: For Advanced Learners of American English; Includes CD-ROM [With CD-ROM] (Hardcover, 2004)
Michael Rundell 지음 / Macmillan(맥밀란)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그동안 사전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영어공부를 해온 저로서는, 사전의 중요성을 깨닫고 큰맘먹고 사전을 구입하기로 하였습니다.Oxford, Collins Cobuild, Cambridge 등 여러 가지 사전에 관한 리뷰도 보고 나름대로 사전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여 저에게 맞는 최적의 사전을 골랐는데, 그것이 바로 맥밀란입니다. 앞서 열거한 사전들이 이름값이나 전통 면에서나 맥밀란보다 당연히 앞서 있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전통있는 사전들의 경우에 대개 개정판을 몇 년 간격으로 계속 재출간하는 데 비해, 맥밀란은 초판을 낸 지 얼마 안된 신선한 책이라는 사실이 마음에 들었습니다(지금 보니까 이 책도 개정판이 나오네요). 그리고 유명한 사전을 집필하신 분들이 맥밀란으로 옮겨와서 사전을 썼다는 사실이 맥밀란에 대한 신뢰를 키워주었습니다.

내용적인 면에 있어서도 맥밀란은 좋은 책입니다. 우선, 단어를 설명함에 있어서 되도록이면 쉬운 단어로 설명을 하여서 초, 중급 학습자들이 이해하기에 아주 편하고, 용례도 북미 언어 중심이라서 현실감 있게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또한 많은 그림과 신조어들은 단어의 이해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CD는 이 책의 백미라고도 할 수 있겠고요...

별 다섯 개를 주어도 되겠지만, 하나를 깎은 이유는 알량한 애국심(?)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그것은 한국에 관한 어휘가 하나도 없다는 점입니다. 세계인들이 알만한 한국어가 하나도 사전에 실려있지 않아서 일본 관련 어휘를 찾아봤더니 몇몇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개정판을 기대해봐야죠) 그리고 영어사전을 한 권으로 모두 커버하기는 어렵지만, 구동사나 이디엄 등의 설명과 예문이 빈약한 점 등은 맥밀란이 개선해야 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독자 여러분들께서는 맥밀란을 어느정도 많이 보시고 다른 영영사전으로 지식의 폭을 넓혀 나가신다면, 영어 이해의 넓이와 깊이에 있어서 모두 만족하실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부기술 - 점수, 마구 올려주는 공부의 법칙
조승연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공부에 찌들린 많은 청소년들에게 공부기술을 익히면 공부에 성공할 수 있다는 꿈을 심어줌으로써 공부에 대한 인식을 조금이나마 바꾸었다는 것에 있어서는 좋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공부는 그냥 무작정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계획을 세워서,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에는 동감했습니다. 그런데 책의 세세한 부분마다 실수 아닌 실수가 드러나고 있어서 안타까웠습니다.

먼저, 성급한 일반화와 주장에 대한 근거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잡다한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이야기를 하는 chapter의 첫머리에 느닷없이 그린스펀이 등장합니다. 그가 두 개의 학교를 동시에 다녀서 호기심이 많다는 소리인지, 아니면 '그린스펀은 나와 똑같은 과정을 밟았다. 나는 호기심이 많다. 따라서 그린스펀도 호기심이 많았다.' 라는 삼단논법을 사용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게다가 '집중력이 짧은 사람은 고도의 집중력과 칼같이 논리적인 사고력을 가지고 있다(42p)' 라든지, '학창시절 내내 올 A학점을 받거나 대학 수학능력시험에서 만점을 받는 학생은 아론같이 언뜻 보면 공부에 신경 쓰지 않는 것 같아 보이는 학생들이 차지한다(73-74p)' 라는 부분에서는 책을 놓았습니다. 공부에 신경을 쓰지 않고 어떻게 만점 혹은 고득점을 차지할 수 있겠습니까. 자신의 논리를 세우기 위해 단정적인 어투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느 정도 사실에 근거한 이야기로 근거를 세웠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더 이상의 반례를 생략합니다.)

그리고 공부 비법 중에 저자가 제시한 공부시간에 대해서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 과목을 20분 이상 공부하지 마라', 이 주장은 너무 단정적이고 설득력도 약하다고 봅니다. '20분' 이라는 시간은 '공부 시작했다 공부 끝났다' 이 정도의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부기술' 이라는 책을 읽는다고 가정하면, 글씨가 가장 많은 책의 줄 수가 22줄이고, 한 줄에 10단어를 넘지 않습니다. 그러면 한 페이지에 최대 220단어가 들어 있습니다. 제 독서속도가 220단어라고 하면, 저는 1분에 1페이지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20분이면 20쪽을 읽을 수 있겠죠. 그러나 읽었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내용의 난이도에 따라서 다시 읽어야 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면 시간이 2-3배 더 걸리게 됩니다. 그런데 지난번 저자가 출연한 프로그램에서 보니 뉴욕주립대 공부를 소화하려면 하루에 책 1권 정도를 읽어야 한다고 자막에 뜨더군요. 그러면 20분의 공부시간이 몇 회 반복된다고 하여 책 1권을 하루에 읽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저자가 이렇게 공부해서 성공했다고 하여 많은 청소년들이 따라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이미 많이 그렇게 하고 있지만...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