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의 힘 - 믿는 대로 된다
조엘 오스틴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연히 신문을 보다가 이 책을 선전한 광고를 접하게 되었다. '긍정의 힘'이라는 제목이 뭔가 심상치 않은 기운을 띄고 있었을 뿐더러, 이 책의 출판사가 두란노라는 것에서 기독교서적이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었다.

"음, 긍정의 힘이라니...저 목사님은 우리에게 어떤 긍정의 힘을 줄 수 있을까."

광고를 본 후, 서점에 가서 책날개를 열어보니, '사회의 잘못된 점을 비판하기보다는 말씀, 성경중심의 설교...' 라는 코멘트와 함께, 조엘 오스틴 목사는 아버지의 뒤를 이은 2대 목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충 낌새를 알아챈 나는, 책의 안으로 들어가서 각종 화려한 수식어로 가득차 있는 유명인, 유명목사들의 추천사를 보게 되었다. 백지연부터 시작해서 이름만 대면 알 만한 대형교회의 담임목사들의 추천사가 끝을 모르고 이어져 있었던 것이다. 

이쯤 되면 하고싶은 말은 거의 다 한 셈인데, 이 책을 읽고 나서 몇 가지 감정을 느꼈다.

첫째, 150~200페이지 정도를 읽고 있던 중, 이 책을 쓴 조엘 오스틴 목사가 '세습목사'였다는 점을 깨닫고 난 후,  이 책을 덮어버리고 싶었다. 듣고 싶은 말, 달콤한 말들에 취해있는 사이에 이 말을 하고 있는 주체가 누구인지도 망각했던 것이다. 물론 아버지의 목회나 사업을 물려받아서 더욱 번창하게 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 '번창'이라는 것의 기준은 무엇인가? 이 책에서는 아버지 목사가 담임했을 때 6000명에 '불과'했던 교회를 30000명으로 확장시켜 놓은 것을 목회의 성공의 근거로 삼았지만, 이러한 물량적 근거는 진정한 교회의 모습을 나타내기에는 부족하다.

둘째, 조엘 오스틴 목사가 제시하고 있는 '긍정' 이라는 것 역시 '세속적 성공' 을 부르짖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가 든 예 중에 내가 가장 충격을 받은 예화가 있다. 한 골프선수가 있는데, 그가 중동의 어느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왕자와 라운딩을 하였다. 라운딩을 마치고 왕자가 골프선수에게 선물을 하려고 하자, 골프선수는 몇 번을 사양한 후, 골프채 하나를 선물해 달라고 하였다. 이 말을 들은 왕자는 알았다고 하면서 나중에 우편으로 부치겠다고 하였다. 2주 후, 그 골프선수는 왕자가 보낸 선물을 보고 기겁을 하는데, 그 선물은 골프채가 아닌 '골프장'이었던 것이다. 이 예화를 든 목사의 목적: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더 좋은 것을 예비하고 계신다."

이 예화는 이 책에서 본 최고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미국에서는 골프가 대중스포츠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는지 어쩐지는 몰라도, 한국이나 미국이나 골프는 여전히 상류층의 운동이다. 저자가 담임하고 있는 교회에 상류층이 많이 다녀서 이런 예화를 들었는지는 몰라도, 이는 골프를 즐길 수 없는 대다수의 현실에는 전혀 적용될 수 없는 꿈같은 이야기이다.

물론 하나님은 없는 자들뿐만 아니라 있는 자들에게도 동일한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있는 자들을 위한 설교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 있는 자들도 복음을 듣고 구원을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조엘 오스틴 목사의 설교는 매우 일관성 있고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설교임에 분명하다. 밝고 희망에 찬 메시지만 선포하니 어지 나쁠 수가 있겠는가.

하지만 복음의 폭을 가진 자들로 제한한 것은 아쉽다. 흔히 기독교의 신앙을 '십자가의 신앙' 과 '부활의 신앙' 으로 구분하는데, 조엘 오스틴 목사의 글에는 예수님의 부활의 영광만을 만끽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설교를 하고 있을 뿐, 그 누구에게도 예수님의 십자가를 대신 지라는 말을 하지 않는다. 누군가의 고통으로 인하여 나의 편안하고 안락한 생활이 있으며, 음지, 더러운 곳 등에서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에 대한 배려심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빌립보서 4장 13절은 '내게 능력 주시는 자 안에서 내가 모든 것을 할 수 있느니라.' 이다. 기독교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씀이다. 그러나 이 구절 앞에는 바울의 고백적 표현, 즉 '내가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에 배부르며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 라는 4장 12절의 말씀을 상기해야 한다. 주어진 상황에 대한 자족과 만족을 사도바울은 외쳤던 것이다. 무조건 '긍정' 한다고 해서 일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란 말이다.

무조건 긍정의 신화에서 벗어나는 용기가 필요하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yonara 2005-06-27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들만의 환희와 막무가내의 낙관주의... 확실히 사고로 팔이 떨어지고, 다리가 잘리는 상황인데도 낙관과 긍적의 힘을 '강요'하는 책들이 많더라구요.
늘 이런 생각이 든답니다. '말은 쉽지...' ㅋㅋㅋ

hj0405 2005-07-05 08: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거름님 좋은 평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 되었습니다.

pp918 2005-07-07 2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목 조목 번호까지 붙여서 올려주신 리뷰 잘 읽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본 읽은느낌은 님이 지적하신 부분이 부적절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세습목사 부분이나 골프예화는 내용의 요지를 벗어난 비판이란 생각이 듭니다. 한마디로 미국문화를 우리나라식편견으로 좁게 본다고 해야 할까요? 그리고 이책은 제목 그대로 긍정의 힘..긍정적인 사고를 위한 책내용일뿐 그것이 다라고 주장하는 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윗분말대로 말은 쉽고 사람의 힘으로 긍정적 습관을 만드는 것은 정말 힘듭니다. 사람을 바꾸는 것은 결국 지식이 아닌 마음이기 때문에 이부분에 대해서는 신앙적 측면에서의 접근만이 그 가능성을 줄수 있다는 것을 저자는 설명하려 했다고 읽었습니다. 긍정의 진정한 힘은 타인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용납하는 용기라고 생각합니다.

황금률 2005-07-09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걸순이님께...긍정적 사고가 부정적 사고보다 좋은 것은 당연한 거겠죠. 하지만 시험공부를 하지 않았는데 시험을 잘 볼 수 없듯이, 실생활에서 말씀에 근거한 노력을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막연히 긍정적인 사고만 가지면 잘될 거라는 점이 저는 안타까웠던 것입니다.

aser1122 2005-08-11 0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이라는 곳과 한국이라는 곳의 장소적인 차이도 있겠고.. 생각의 차이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선 교회에서 목사님께 아버지 이후에 목사님을 맡게 만든 상황을 알고도 세습 목사라는 단어 하나로 이분을 단정지어버릴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양적인 성장만이 전부는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전에.. 이분의 설교말씀을 한 번 들어보시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차를 타고 5시간 거리에 있어서 방송으로 밖에는 말씀을 듣지 못하지만.. 들을 때마다 직접 가고 싶은 충동이 든다면.. 그리고 실제적으로 그 방송설교 때문에 한 번도 믿지 않고 오히려 불신하던 사람들이 믿게 되어 교회를 나가게 되어 양적인 성장까지 이루어 진 것이라면.. 설교를 듣기 이 전에 양적인 성장이 무조건 눈에 보여지는 것이고.. 목회 성공의 기준을 그것으로 밖에 보지 않았다는 말씀을 하실 수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실생활에서 말씀에 근거한 노력을 하지 않는데도 막연히 긍정적인 사고만 가지면 잘될 거라는 점이 안타까우셨다고 하셨는데요..
하나님을 제대로 는 사람이라면.. 기도도 하지 않고 노력도 하지 않는데 좋은 것을 바라고 잘되기를 바라는.. 그런 요행수는 바라지 않는답니다..
목사님께서 말씀하시는 긍정의 힘이라는게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비판의 눈을 가지고만 보지 마시고 좀 더 다른 시각으로도 한 번 읽으셨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꿈꾸는 자 2005-08-25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삐둘어진 마음으로 책을 읽으면 그 책의 내용이 전달하려는 내용보다는 자신이 이해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해하게 되죠. 중요한 것은 진정으로 작가가 무엇을 전달하려고 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태도를 가지고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단편적인 예화 하나를 문맥에 흐름에도 없이 따로 떼어 놓는다면 그 내용에 주요 핵심보다는 예화에 몰입되겠죠.

중요한 것은 문맥이 없는 단편적 예화로 책의 내용을 알 수 없다는 것이 아닐까요

baristamj 2005-11-08 14: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평도 일리가 있습니다. 다만 제 생각에는 제목이 '긍정의 힘' 이다보니 결과중심적인 예화를 든 것 같네요. 님 말씀대로 '말씀에 근거한 노력'을 기본으로 하고 쓰신 게 아닐까 하는데요. 단순히 '긍정'마인드만을 이야기한 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세습목사라는 것에 대한 평은.. 그것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더 편협한 시각이라고 봅니다. 모든 것은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죠. 흑백논리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인 것 같네요~^^

DJ뽀스 2006-01-31 02: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몇 페이지 읽다 말았지만 님께서 지적했듯이 너무 "세속적인 성공"만 강조하는 글에 놀랐습니다. 같은 종교인으로서..거부감이 많이 들었달까요? 긍정의 힘이 가진 마인드컨트롤적인 측면을 강조한 걸로 결론 내리고 책을 덮었습니다. 뭐..밝고 긍정적으로 앞으로 나가다 보면 더욱 노력할 것이고 성취해 내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