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아이 이야기 나폴리 4부작 4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원히 끝낼 못할 것 같은 이야기가 드디어 끝났다."
드디어 끝이 나버린 나폴리 4부작의 마지막 페이지를 읽고, 나는 또다시 이 이야기의 처음인 1부 <나의 눈부신 친구>로 돌아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돌림노래를 부르는 것처럼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이 이야기를 들어봐야겠다.
이야기의 화자인 레누는 자신만의 힘으로 이야기를 만들지 못한다. '눈부신 친구'인 릴라에게 영감을 받아 글을 쓰는 레누는 릴라가 갑자기 사라진 그날부터 자신과 릴라의 이야기를 우리에게 풀어놓는다. 둘 사이의 우정, 그들이 사는 나폴리의 친구들, 가족들, 그리고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 정치를 독자에게 들려준다.
레누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독자의 경험과 맞물려 독자 각자의 기억 속 어디쯤 묻혀있던 추억을 소환해내곤 한다. 소꿉장난을 하던 어느 따스한 봄날의 기억, 학교에 처음 들어가던 날의 낯설기만 하던 책상과 의자, 복도에서 우연히 마주친 잘생긴 남학생, 목소리를 높여 민주화를 외치던 캠퍼스의 매캐한 공기.
그렇게 레누와 한국의 한 여성은 비슷한 경험을 한다. 아마 그것은 그 시기를 건너온 대부분의 나라에 살았던 많은 여성들의 경험과 닮아있을 것이다. 레누와 릴라는 결혼을 하고 별거(혹은 이혼)를 하고 아이를 낳고 사랑을 하고 이별도 한다. 사람에 대한 증오와 환멸 그리고 후회, 우리가 살아가면서 느꼈던 그 다양한 감성들이 레누가 풀어놓는 이야기 안에 다 담겨있다. 게다가 마치 대하소설처럼 역사의 큰 줄기를 따라 사람들이 흔들리며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풀어놓았다.
레누가 책을 내고 세상의 반응이 책의 내용과 다르게 나타나는 것처럼, 나는 엘레나 페란테의 책을 읽고 있지만, 마치 내 이야기를 읽는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

마치 비평가들이 서점에 있는 내 책을 읽은 것이 아니라 각자의 선입견이 만들어낸 가상의 책을 소환하는 것 같았다.

각자 자신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책, 어쩌면 그 책 안에는 읽는 독자의 추억과 기억이 함께 담겨 독자의 수만큼 더욱 풍성해질 것 같다.
그래서 영원히 끝나지 못하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다. 그 이야기의 끝도 알 수 없고, 그 이야기가 어디까지 진실인지도 불명확한.

이 책을 덮으면서 결국 잃어버린 아이와 레누와 릴라의 첫 번째 강렬한 기억인 잃어버린 인형이 겹쳐지며 뻗어나가기만 하던 선분의 끝이 만나 영원히 돌고 도는 커다란 원을 그려놓아 독자들을 끝없이 처음과 끝을 반복해서 돌게 하는 것 같다.
심지어 이것이 레누의 이야기였는지, 릴라의 이야기였는지, 아니면 엘레나 페란테 그 얼굴 없는 작가의 이야기인지 모르는 지경이 되어버렸다.
우리는 스스로 연필심이 커다란 원을 그리는 동안 움직이지 않는 컴퍼스의 고정된 축이라고 착각하지만(이 책 속의 레누는 그렇게 생각했다) 우리는 릴라처럼 흐물흐물 녹아 퍼지는 액체처럼 이곳저곳에 흩어져있는 알 수 없는 그 무엇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