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괜찮지 않다 - 자신감과 열등감 사이에서 방황하는 여자들을 위한 심리처방전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강희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유독 그 사람이 힘들다>의 저자 배르벨 바르데츠키의 이번 신작 <나는 괜찮지 않다>는 역시 나르시시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자신감 부족이나 대인관계 장애의 원인이 나르시시즘이라고 말한다. 특히 이 책에서는 자신감과 열등감 사이를 방황하는 여자들을 말하고 있다. 저자가 예를 들고 있는 많은 여인들은 거식증이거나 혹은 폭식증 등 섭식장애를 앓고 있다. 그 기저에는 여성적 나르시시즘이 있어 자기 회의나 깊은 열등감에 빠지게 하고 그것을 몸매와 얼굴 등 겉치장으로 상쇄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 사회가 만능 인간, 잘난 사람이 되라고 끝없이 가르치는 나르시시즘적 사회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현 사회가 우리를 타인으로부터도 소외시키지만, 특히 자기 자신을 매우 낯설게 느끼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하는 면이 있다. 특히 밥을 먹는다는 것은 내면의 공허감을 채워주는 대안이 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섭식장애를 앓고 있다. 섭식장애를 앓고 있지 않은 대다수의 사람들조차 거의 평생을 다이어트를 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는 백설공주의 계모처럼 타인의 인정을 갈망한다. 비록 거울을 들여다보며 '거울아, 거울아~'를 외치고 있지는 않지만, 주변인들을 통해 자신이 특별한 존재임을 끝없이 확인하고 있다. 만약 내가 특별한 존재가 아닐 때는, 그리고 나의 욕망이 투영된 대상이- 특히 자식- 특별한 존재가 되지 못할 때는 어떻게 할 것인가?
나는 이 책에서 백설공주의 동화를 재해석한 부분이 특히 재미있었다.
백설공주는 세 번이나 왕비의 유혹에 빠졌다. '거짓'자아의 유혹이 그만큼 강력하다는 증거다. 첫 번째 유혹은 가슴 끈으로 대변되는 것으로, 완벽주의와 매력적 외모를 상징하단. 실제로 많은 여성들이 이를 위해 욕구를 억누르고 꽉 끼는 코르셋으로 자기 몸을 옥죈다. 다른 사람의 마음에 들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기도 한다. 자기의 욕구로부터 자신을 분리하면 아름다움을 얻을 수 있다고 유혹하는 광고들이 많은데, 이들은 그러한 각종 비법들에 휘둘린다.... (중략) 그러나 세 번째 유혹에서는 상황이 달라진다. 독이 든 사과는 '독이 든' 메시지와 자기애적 착취를 상징한다. 자기애적 착취는 착취로 인식하지 못할 만큼 그럴싸하게 포장되어 있어서 그 안의 독성을 쉽게 알아채지 못한다. 나르시시즘의 관점에서 볼 대 사과에 든 독은 사회적 성공과 외모를 상징한다. '진정한 자아'를 버리면서까지 자기 자신을 속이는 태도가 바로 독이다.
이 책의 백설공주에 대한 여러 재미있는 해석들은 고개를 끄덕이게도 하지만, 억지로 짜 맞추고 있다는 느낌도 지울 수 없었다. 특히 유리관을 옮기던 시종들이 덤불에 걸려 넘어지면서 백설공주가 목숨을 되찾게 되는데 이 시종들의 실수를 아이처럼 수동적 입장을 고수하는 여성에게 주변 사람들이 관심을 끊어버리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는 해석에서는 공감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실제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은 우리에게 '선물'로 주어진다는 말은 우리 모두가 새겨두어야 할 말이라고 생각한다. 외모도 성공도 모두 자신이 잘 해서, 혹은 잘나서 그런 것처럼 해석되고 평가받는 요즘, 우리는 보다 더 겸손해져야 한다. 주어진 것과 자신이 힘써 이룬 것을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