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눈부신 친구 나폴리 4부작 1
엘레나 페란테 지음, 김지우 옮김 / 한길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도하지 않으면 변화할 수 없어.

이 이야기는 어느 날 갑자기 66세의 한 여성이 갑자기 흔적도 없이 (정말 한 점의 흔적도 없이) 사라진 데서 시작한다. 그렇다고 자살은 아니다. 그 여인의 아들은 나(엘레나 그레코-레누차라고 불림)에게 전화로 이 사실을 알린다. 그녀는 안다. 그녀가 소원대로 완전히 사라졌음을. 그녀는 30년 전부터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지고 싶다'고 말했다.
이 전화는 그녀를 사라진 릴라와의 추억으로 데려간다. 이렇게 레누차와 릴라의 이야기는 이 이쁜 표지의 책 속에 펼쳐진다. 이 책은 독자를 이들의 과거뿐만 아니라 독자의 과거로 데리고 간다.

레누차가 만난 '릴라'라는 아이. 그녀는 폭력으로 가득한 이들의 어린 시절에 레누차에게 커다란 의미로 다가온 친구다. 자신의 행동에 확신이 없던 드러나지 않던 레누차에게 릴라는 절대적인 확신을 가진 아이였다. 릴라는 레누차의 기준이 된다. 엄마처럼 절름발이가 될지도 모른다는 공포감을 가진 레누차에게 늘씬한 다리의 릴라는 영웅이다. 그녀는 스스로 글자를 깨친 아이일 뿐 아니라 놀라운 능력을 가진 친구다.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한계를 넘을 줄 아는 아이, 그녀는 레누차의 '눈부신 친구'였다.

어렵고 힘든 시절 겨우 초등학교만 졸업하고 다들 일을 하던 그 시절, 공부를 잘 하던 두 친구는 중학교 입학을 하기로 하지만, 이쯤에서 그 둘은 서로 다른 길을, 그리고 뒤바뀐 길을 걷게 된다. 타고난 영리함으로 뛰어나게 공부를 잘하던 릴라는 아버지와 함께 구둣방으로 릴라와 비슷해지기 위해 노력하던 레누차는 진학을 하게 된다. 이들이 결정적으로 뒤바뀌는 한 시점을 작가는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그날 밤 나는 그날 일어난 일에 대해서 생각했다. 우리는 바다로 가야 했는데 가지 못 했다. 나는 아무런 소득도 없이 얻어맞았다. 그 과정에서 릴라와 나의 사고방식이 뒤바뀌는 기묘한 일이 일어났다. 나는 비가 와도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갔을 것이다. 나는 익숙했던 모든 것에서 멀리 떨어진 느낌을 받았다. 처음으로 느껴본 그 거리감은 모든 걱정과 인간관계에서 나를 자유롭게 했다. 반면 릴라는 갑작스럽게 자신의 계획을 후회했으며 바다를 포기하고 우리 동네로 돌아가기를 바랐다.

1950년대 후반 이탈리아는 내가 아주 어렸을 적 흔히 보던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싸움과 폭력으로 시끄럽고, 정제되지 않은 언어로 서로에게 퍼부어대던. 그 속에서 릴라와 레누차는 아름다운 꽃으로 자라난다. 그들 둘만의 우정도 그리고 그들과 함께 숨 쉬던 이들의 이야기도 즐겁다. 문득문득 나의 어린 시절과 엮여 더 다채롭게 펼쳐지기도 한다.

지금은 너무도 많이 멀어져 있는(공간으로도 그리고 시간으로도) 그때가 많이 생각났다. 갑자기 어제는 기억조차 희미하던 친구와 연락이 되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 먼저 다가와 말벗이 되어 주던 착하디착한 한 친구의 목소리는 그렇게 또 멀리 나를 데려다 놓았다. 이 책처럼.

이 둘의 우정은 릴라의 결혼과 함께 또 어떻게 달라질까? 그리고 66세의 릴라가 사라졌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얼른 다음 권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