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J.D. 샐린저와 호밀밭의 파수꾼 ㅣ 살림지식총서 168
김성곤 지음 / 살림 / 2005년 3월
평점 :
지금이 아니고 그때 읽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드는 책이 있다. 지금 읽어도 물론 좋지만, 방황하고 힘들던 바로 그때 읽었더라면 보다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고, 나의 삶이 조금은 달라졌을 것 같은 책. 내게는 그런 책이 몇 권 있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비롯한 몇 권의 책들과 J.D.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이다. 성인이 되어서 읽은 <호밀밭의 파수꾼>은 심지어 '이게 왜 좋은 책이야?'에 조금은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했고, '다 그런 때가 있는 법이지'하며 하나의 통과의례를 겪는 아픈 청춘을 바라보는 입장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아련히 '혹시 내가 그때와는 너무 다른 방향으로 다른 입장에 서있어서 다 잊어버린 건 아닌지 돌아보기도 했다. 그래서 더욱 안타깝기만 했던 <호밀밭의 파수꾼>읽기였다.
<호밀밭의 파수꾼>은 전 세계에 '샐린저 현상'을 일으키기도 했고, 이 책을 잘못 읽은 인물들은 이 책을 금서로 만들기도 했다. 무엇보다 가장 잘못 읽은 이는 존 레넌을 저격한 마크 데이빗 채프먼이었을 것이다. 그래서였을까? <호밀밭의 파수꾼>을 들고 다니며 자신을 주인공 '홀든 콜필드'와 동일시하던 젊은이들이 이 책에 접근하는 것을 막으려고 나섰던 이들이 있었던 것은. <J.D. 샐린저와 호밀밭의 파수꾼>에서는 이런 샐린저 현상과 이 책을 비판했던 이들의 입장을 들려준다. 그 당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이 얼마나 논쟁 속에 있었는지, 반대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얼마나 인기가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호밀밭의 파수꾼>의 비판자들이 화를 내는 근본적인 이유는 기성세대의 치부를 과감히 드러내 고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호밀밭의 파수꾼>이 그렇게 인기 있었던 이유는, 당시 전후 젊은 세대가 느꼈던 좌절과 분노를 이 소설이 정확하고도 시원하게 드러내 주었기 때문이다....... 결국 이 소설의 메시지는 "우리는 도망칠 수 없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휴 맥리언 같은 사람은 <호밀밭의 파수꾼>을 "출구가 없는 보수주의적 소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호밀밭의 파수꾼>은 이 세상이 본질적으로 '가짜'라는 것, 그리고 그 속에서 아이들은 필연적으로 순진성을 상실하고 어른이 되며, 결국 그 '가짜'의 일부가 되어간다는 것을 인식하는 소설이다. 또한 그러한 과정에서 인간은 자신을 구하기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소설이다.
살림에서 나온 이 시리즈가 재미있는 이유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작가와 작품에 대해 90페이지의 작은 책 속에서 쉽게, 그리고 콤팩트하게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샐린저는 1965년 이후 절필한 채, 더 이상 글을 쓰고 있지 않으며 영화화하기 너무 좋은 작품임에도 영화로 만들 수 없게 하고 있다. 은둔의 작가 샐린저와 그의 최고의 작품 <호밀밭의 파수꾼>은 그래서 더욱 불멸의 명성을 더하게 된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