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카뮈 살림지식총서 51
유기환 지음 / 살림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게 카뮈는 단순히 좋아하는 작가 그 이상이다. 왜일까? 사춘기를 보내던 고등학교 시절 좋아했던 세 남자는 국어선생님과 제임스 딘과 카뮈였다. 문학을 좋아하던 10대 소녀에게 이 세 남자는 그 당시 모든 시간을 함께 보낸(상상 속에서) 인물들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이 셋이 모두 닮아있다. 위의 담배 피우는 카뮈는 제임스 딘의 모습이 얼핏 보인다. 내가 카뮈의 작품을 만났던 때는 2학년 여름방학이었다. 집 밖으로는 한 발자국도 나가지 않고 오직 책에만 파묻혀 지냈던 시간, 그 시간을 함께 한 작품은 <이방인>이었다. 이해하기 힘들었던 그 작품을 읽고 또 읽고를 반복했다. 여름방학이 끝나고 보니 7번을 읽었다. 그 뒤로 읽었던 카뮈의 또 다른 작품들,<페스트>, <시지프스의 신화>, <최초의 인간> 그리고 <전락>은 왜 내가 카뮈를 좋아하는가를 확인시켜주는 작품들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카뮈의 작품세계는 쉽지 않았다.

 

얼마 전 돌아가신 신영복 교수님이 책은 세 번을 읽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우선 작품을 읽고, 그다음에는 작가를 읽고 그리고 자신을 읽는다는 말이다. 하지만 우리는 작품을 읽는 것도 버겁다. 작가를 읽어 볼 생각은 쉽게 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에 읽은 살림지식총서의 <알베르 카뮈>는 그런 나에게 작가를 읽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카뮈의 삶을 담은 책. 이 책은 우선 카뮈가 태어난 알제리의 태양과 바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카뮈가 평생 동안 이야기했던 주제인 '부조리'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카뮈의 삶을 다룬다.

카뮈는 그의 삶 자체가 '이방인'이었다. 아버지는 1913년 알제리의 소도시 몽도비에서 포도농장 노동자인 아버지와 스페인 혈통의 하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다. 평생 스스로를 프랑스인인 동시에 알제리인이라고 생각했지만, 사람들은 그를 '이방인'취급을 했다. 그런 그가 <이방인>을 썼고, 부조리를 이야기한다.

카뮈의 <이방인>에 의해 처음 자리 잡게 된 그 투명한 말은 어떤 부재의 문체를 완성한다. 그것은 스타일의 이상적인 부재에 가깝다. -롤랑 바르트의 <글쓰기의 영도> 

연결사와 종속절의 절약은 지극히 짧고 단속적인 문장을 만들며, 그 결과 문장과 문장 사이의 인과관계가 희미해져버린다. 흔히 카뮈의 문장을 일컬어 고독한 섬과도 같다고 하는 것은 이런 맥락에서이다. 게다가 소설 전편에 걸쳐 견지되는 화자의 시선의 외재성은 '부재의 문체'를 완성한다. p.33 

작가의 이런 해설은 카뮈의 작품을 읽으면서 느꼈던 그 서늘한 느낌이 어디서 왔는지 알게 해준다. <이방인>은 형식 면에서도 동시대 문단의 '이방인'이었던 것이다.

<이방인>을 다 읽고 이해가 잘 간다고 말하는 독자는 거짓말쟁이이거나 좀 모자라는 사람일 것이다. <이방인>은 이해해 달라는 책이 아니라 의심해 달라는 책이다. 늘 익숙하던 세계가 돌연 나의 고향, 나의 왕국이 아니라는 느낌, 이 느낌을 획득하는 자가 바로 카뮈가 원하는 '부조리 인간', 즉 '부조리를 의식하는 인간'이다. 삶과 죽음, 존재와 무에 질문을 던지는 자는 필연적으로 세계의 이방인이 되게 마련이다. 그러니 독자들이여, 걱정하지 말라. <이방인>을 읽고서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것은 오히려 <이방인>을 정독했다는 뜻일지니......

이 글을 읽고 여전히 <이방인>을 이해하지 못하는 나를 위로할 수 있었다. 죽음마저도 부조리했던 카뮈의 삶과 작품은 이렇게 내게 또 가까이 한 걸음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