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견이란 무엇인가 - 데카르트, 칸트, 하이데거, 가다머로 이어진 편견에 관한 철학 논쟁을 다시 시작한다
애덤 아다토 샌델 지음, 이재석 옮김, 김선욱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편견이란 말은 부정적으로 들린다. 그런데 이 편견에 대한 편견을 깨겠다고 달려든 학자가 있다. 그 사람이 바로 마이클 샌덜의 아들인 애덤 샌델이다. 편견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니 다음과 같은 뜻이다. '공정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 역시나 부정적인 의미가 담겼다. 영어인 prejudice의 사전적 의미는 an unreasonable dislike of a particular group or things, or a preference for a one group of people or things over another 라고 되어있다. 모든 나라에서 편견은 이렇게 부정적이고 편파적이고 공정하지 못한 생각이나 감정 등의 의미를 갖고 있다. 거기에 애덤 샌델은 반기를 든다. 애덤 샌델은 편견의 영어 단어인 prejudice가 먼저pre 이루어진 판단judice라고 그 어원을 밝혔다. 이 어원적 측면에서 보면 편견은 오히려 선판단 혹은 선입견의 느낌이 더 강하다.
저자는 편견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이는 현상이 현대사상에 철학적으로 뿌리내리는 과정이 17세기 자연철학과 계몽주의에서부터 유래되었다고 말한다. 좋은 판단에 대해 베이컨, 데카르트, 스미스는 진리에 가까운 판단이며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바지 않은 비관여적 추론 방법을 통해 누구나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탈맥락적 진리를 발견해야 한다고 했다. 칸트는 편견은 노예화의 근원으로 칸트가 말하는 자유는 자신의 외부가 아니라 내면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자연, 전통, 습관, 관습이 아니라 자신의 이성에 인도를 받는 것, 즉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다. 철학사에서 비롯된 이러한 편견에 대해 저자가 그 반대의 근거로 들고 있는 철학은 주로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이론이다.
저자는 하이데거의 세계(world)와 세계-내-존재(Being-in-the-world)와 가다머의 지평(horizon)의 개념을 통해 편견에 대한 비관여적 판단을 비판하며 완전한 판단이란 잘못된 사고방식에서 나온 것이고, 숙고와 판단은 언제나 우리가 처한 구체적 삶의 환경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을 쓴 목적은 이러한 정황적 판단 개념을 전개하고 옹호하고자 하는 데 있다. 자칫 편견의 옹호가 과거에 대한 찬양으로 비치거나, 전통의 사회적 유용성을 옹호하는 것으로 오해받기 쉽다. 하지만 저자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하이데거, 그리고 가다머의 철학 이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이런 편견에 대한 편견이 오해라고 말한다. 정황적 이해에 따르면 우리의 습관, 관습, 전통은 단지 감성적인 기질이나 기계적 행동 방식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의 관점에서 생겨나 그것을 더 분명하게 표현해 주는 똑똑한 이해이다. 모든 이해는 불가피하게 일정한 편견, 즉 선판단을 수반한다. 저자는 결국 중요한 것은 비판적 사고와 부단한 삶의 헌신과의 관계, 철학과 구체적 삶 사이의 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인간은 서로 화해할 수 없는 철학과 삶 사이의 두 가지 욕망에서 분열된 존재임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저자가 편견에 대한 오해를 풀고자 근거로 대는 많은 철학 사상에 대한 이야기가 결코 쉽지만은 않았다. 그렇지만 아리스토텔레스와 하이데거 그리고 가다머가 사용한 철학 용어를 만날 수 있는 기쁨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