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자의 기억법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을 읽다 보면 문득 작가의 생각이 궁금해진다. '왜 이 인물을 등장시켰을까? 그래서 하고 싶은 이야기는 뭘까?' 물론 독자는 궁금하다고 해서 작가에게 물어 답을 찾을 수는 없다. 그저 나름대로 해석만 할 뿐이다. 책의 내용을 통해서 혹은 그동안 자신이 경험했던 바를 통해서. 그렇게 나름의 독법으로 본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은 그간 읽었던 소설들과는 거꾸로 흐르는 느낌이었다. 책 속에 언급된 것처럼 무지의 상태에서 혹은 누군가의 강제에 의해서 저지른 행위의 잘못으로 파멸에 이르며 그 파멸을 통해 자신의 운명을 깨닫는 그동안의 주인공과는 달리 알츠하이머에 걸린 연쇄 살인범이라는 주인공은 파멸 속에서 살았고, 망각으로 이어지다 무지로 생을 마감한다.
25,26년 전 살인을 멈춘 노인네인 주인공의 살인을 추동한 힘은 아쉬움이었다고 한다. 어떤 아쉬움? 그것은 더 완벽한 쾌감이 가능하리라는 희망이었다. 하지만 문득 살인을 멈춘 이유는 그런 희망이 사라져서였다고 한다. 살인을 멈춘 그가 기억력이 점차 쇠퇴해지며 살인 과정의 기록, 일지를 쓴다. 그렇지만 그는 살인 과정에서 느낀 희열과 안타까움을 온전히 표현할 수 없다는 걸 힘들어한다. 그는 또한 문화센터에 다니며 시를 쓴다. 시와 살인, 시인과 연쇄살인범 그가 갖는 두 모습은 아무도 읽지 않는 시를 쓰고,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는 살인을 저지르는 데서 만난다. 하지만 또 그것을 마음속, 머릿속에만 두지 않고 글로 표현한다는 아이러니를 갖고 있는 존재다. 차라리 다 잊으면 좋으련만 그것을 기억하고자 애쓰는 존재.
그렇지만 그가 기억해내려 애쓰는 그 기억조차 잘못된 기억일 수 있다. 자신이 딸이라고 여겼던 여인이 자신을 돌보는 도우미였고, 자신이 죽인 희생자의 딸을 자신이 입장해서 딸로 키운 줄 알았는데, 사실은 벌써 죽였다는 걸 알게 된 그는 그 기억마저도 망각하고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한 채 죽을 것이다. 우리의 삶이 얼마나 화려했든, 혹은 얼마나 비참했든 또는 얼마나 위험했던지 간에 우리는 공(空)이 되어 사라진다.
책에 나온 한 줄의 글 '죽음이라는 건 삶이라는 시시한 술자리를 잊어버리기 위해 들이키는 한 잔의 독주일지도.'라는 말에 답이 있을까? 결국 죽음이라는 것은 망각과 무지로 진행하는 삶 앞에서 숱한 연쇄살인도 시시한 술자리의 발광으로 끝나는 건가? 아니면 오이디푸스처럼 깨달음을 얻었지만 무지로부터 해방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죽는다는 그것밖에는 없지 않은가? 空 공으로 돌아감? 그 말이 무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