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호텔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02
외젠 다비 지음, 원윤수 옮김 / 민음사 / 2009년 3월
평점 :
사실 북호텔이 Book호텔일거라고 막연하게 생각했고, 평이 좋아 선택했었는데, 실은 北호텔이었다는 건 책을 펼치면서 알게 되었어요. 그리고 이 소설이 포퓰리스트 상을 받은 첫 번째 소설이라는 것도 책을 받고 난 후 알았구요. 하지만 직접 읽어 본 느낌은 '처음 만나는 낯선 서술방식이지만 너무 좋았다'였어요. 마치 '다큐멘터리 3일'을 보는 느낌이라고 생각했어요.
카메라로 북호텔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과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주욱 훑어가며 그저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작가는 1927,1928년 파리의 풍경을 보여주고 있어요. 이 소설 속에 등장하는 숱한 인물들은 그저 이름이 없어도 좋은, 그냥 A,B,C... 라고 불러도 될만큼 존재감이 두드러진 인물들이 아니예요. 극적인 행위나 사건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저 사소하고 자칫 하찮아 보이는 행동들이 연결되는 것, 그래서 주제가 가볍고 사소해서 어쩌면 무의미해 보이는 것이지만 작가는 아마도 이것이 바로 인간 삶의 본질이 아닐까 생각한 듯 보입니다. 그래서 이 소설의 서사를 요약한다는 것조차 무의미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이 호텔에는 '쥔장'인 르쿠브뢰르 부부와 가정부,대장장이,인쇄공,마차꾼,여공,지하철 종업원 등 파리의 하층민들이 살고 있습니다. 작가가 전하는 이들의 삶은 다음의 글에서 약간 엿볼 수 있는데요.
불안정하고 덧없는 인간들이 의지할 곳을 찾고 있는 마흔 한개의 방들 가운데 선~~ p.39
그들의 언 얼굴들은 새벽처럼 시푸르뎅뎅하다. 단조로운 운명이 그들을 짓누르는 것이었다.p.42
고정관념을 가진 고집과 광적인 욕망을 지닌, 머리가 약간 돈 인간이었다.
그는 자기 위치에 대하여 헛된 자만심을 지니고 있었다. p.86,87
작가의 이들에 대한 시선이 따뜻하게 느껴지지만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냉철하게 바라보아야 할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합니다. 독자에게 소설가의 판단을 전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독자 스스로 소설 속의 인물들의 삶을 그리고 거기에 비춰진 독자 자신의 모습을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물론 이들의 일상은 사소하고, 반복적이고, 권태롭고, 그리고 패배합니다. 하지만 그 속에 있는 뭐라 말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 그들을, 우리를 살게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대단치 않은 직업에 못 박힌 채 거기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기계적으로 살고 있는 것이다. 호텔에는 가지각색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몇몇 회사원들,회계원 한 사람, 급사들, 전기공들, 인쇄공이 둘 있는가 하면 건설 계통의 일꾼으로는 미장이, 벽 칠장이, 석수장이, 목수 등 만약 파리가 지진으로 파괴되어 버리면 재건에 필요한 인간들이었다. p.42
우리 사회는 이런 이들에 의해서 지탱되고 유지되고 있습니다. 비록 '북호텔'은 재개발에 의해 무너져버리고 그 자리에 '모던 피혁'이 들어서겠지만 이들은 또 다른 모습으로 그리고 또 비슷한 모습으로 그 자리에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