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귀신의 노래 - 지상을 걷는 쓸쓸한 여행자들을 위한 따뜻한 손편지
곽재구 지음 / 열림원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책을 읽고 나면 그 책의 서사가 강하게 기억이 나서 누군가에게 전달하지 않으면 안되는 책이 있다.

그리고 책을 읽는 중에는 너무 좋았는데 막상 누군가에게 책을 소개하려 할 때 어떻게 이야기해야 할지 말문이 막히는 책도 있다. 그저 '참 좋다'라고 할 수 밖에 없는.

 

곽재구의 <길귀신의 노래>는 '참 좋다'라고 밖에 말할 수 없는 책이다.

저자인 곽재구의 이런 저런 상념들,길에서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그리고 시들의 이야기인데 어떤 부분은 '이다체'로 어떤 이야기는 '습니다체'로 일관성이 없기도 하고 그 감성의 결이 사뭇 다르기도 하다.


곽재구 시인이 시인 '사평역에서'와 관련된 이야기는 회고적인 이야기로 사평역에서가 나오게 된 이야기 그 시가 어떻게 상을 받게 되었는지 평은 어떠했는지 하는 뒷 이야기를 해주고 있어 한 작품의 뒤에 이런 에피소드들이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작가가 살고 있는 순천근처의 마을과 바다이야기는 그 길을 나도 따라 걷고 있는 듯하며 시인의 글속에서 나는 따스한 밥냄새,국냄새가 난다.그리고 억세지만 구수한 마을 사람들의 말소리도 들리는 듯 하다.


이 작가의 글은 나를 어렸을 적 내가 살던 시골로 데려다 주고 할머니의 품 속으로도 데려다 준다. 작가와 함께 엉덩이가 코가 귀가 기억하는 따숩고 훈훈한 추억속으로 여행을 떠났다가 온 듯한 느낌이다.

 

작가가 만난 맹인 부부의 이야기에서 삶이란 그것을 가꿔 갈 정직하고 따뜻한 능력이 있는 이에게만 주어지는 어떤 꽃다발 같은 것이란 말에 잠깐 생각이 멈춰서서 그 아름다운 꽃다발을 느끼지 못하고 사는 나를 돌아보았다.

 

작가의 모스크바 여행은 꽃과 책의 여행이었다. 길에서 만나는 러시아인들은 꽃을 들고 있거나 책을 들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 아름다운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그 여행길에 나도 동참해 보고 싶어진다.

 

나는 길들을 사랑했다.세상의 아주 먼곳까지 사방팔방으로 도시와 사막과 바다와 산맥의 속으로 펼쳐진 길들의 모습은 나를 늘 설레게 했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한 채 길은 우리곁에 늘 다가와 있다. 어느 순간 나는 길이 시간의 다른 이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나는 보이지 않는 시간속에 서 있었고 보이는 길 위에 또한 서 있었다. 시간을 헤쳐 나가는 것이 인생인 것처럼 길을 헤쳐나가는 것이 인생이라는 생각을 한다.

 

작가가 길위에서 느낀 이 짧은 글 속에서 우리는 인생을 그리고 시와 같은 그의 글을 만날 수 있다.

작가의 이야기처럼 고통 속에서 한 인간이 십 년 이십 년 동일한 꿈을 꾼다는 것은 자신의 안에 신의 정원을 빚는 일이듯이 우리의 삶 또한 하루 하루 그렇게 같은 꿈을 꾸며 힘들지만 아름답게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이 책을 읽으며 떠오르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에게, 내 마음에 따스하게 기억되는 누군가에게 선물하고픈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