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드 NERD - 세상의 비웃음을 받던 아웃사이더, 세상을 비웃다!
외르크 치틀라우 지음, 유영미 옮김 / 작은씨앗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너드!

처음 들어보는 단어였다.

 

그러나 이 책에서 언급되고 있는 이들을 보니 그 말이 어떤 느낌인지 대강은 짐작이 갔다.

탈레스,헤라클레이토스,아리스토텔레스,디오게네스,토마스 아퀴나스,임마누엘 칸트,니체,비트겐슈타인,뉴턴,아인슈타인,퀴리부인,프랭크 자파,조지 오웰,앤디 워홀,줄리안 어샌지,스티브 잡스,빌 게이츠,마크 저커버그.

우선 이들은 역사에 그들의 이름을 깊이 인식시켜 놓은 이들이다. 철학과 과학 그리고 예술계에서.

그 중에서 현대적인 인물들인 어샌지나 잡스,게이츠,저커버그 등은 컴퓨터 업계에서 뜬 인물들이다.


왜 저자는 왜 이들을 너드라고 불렀을까?


너드는 지능이 뛰어나지만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거나 사회성이 떨어지는 사람을 전형적으로 이르는 말이다.대중적이지 않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비주류 활동을 하는데 과도한 시간을 보내며,이러한 활동은 주류 활동에 배제되는 높은 과학 기술이나 픽션,또는 판타지에 관련한 주제가 일반적이다.또한 많은 너드가 부끄럼이 많고 별나며 매력 없는 모습으로 묘사되며,운동 경기에 참여하거나 응원하는 것조차 어려워하기도 한다. -위키피디아에서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저자는 이들의 어떤 특성들이 너드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생각했나 보다.

특히 철학자들의 경우 실리적이지 않는 문제를 취급하고 외톨이이며 특히 여자들과 잘 지내지 못한 점,긜고 유치한 것,비 이성적인 것,육체적인 것에 무관심하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취한다는 것에서 너드라고 말한다.


작가는 이러한 너드들이 권력자들과 기득권자들 앞에 굴하지 않았으며 쩨쩨한 일에 끼어들지 않았다고 말한다.분석적이고 냉철한 지성,신체를 원칙적으로 적대시하는 것,돈이나 소유에 대한 무심함 등이 너드를 판가름 짓는 본질적인 기준이라는 것이다.그리고 너드는 디지털 문화에서 슈퍼 모델로 등극했으며 드디어 너드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선포한다.


그렇다면 위에서 언급한 이들이 너드의 특성을 지니고서도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결과물을 얻지 못했다면 어떠했을까? 아니 평범한 이들은 그런 일들을 해내지 못했을까? 


저자가 언급한 이들이 너드적인 특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너드라고 해서 모두 그런 일을 해낼 수 있는 것도 아니며 평범한 사람들이 일궈낸 많은 결과물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는 데에서 나는 저자의 생각에 공감하기가 쉽지 않았다.


오히려 다양성을 인정해 주는 자유로운 시대분위기가 이런 이들이 충분히 인정받고 활동할 수 있게 만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결국 중요한 것은 서로 다름을 인정해 주는 사회 분위기이며 특히 아이들을 교육함에 있어서 짜여진 틀 속에 가두려 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책에서 작가가 언급한 빌 게이츠가 한 말은 그래서 상당히 아이러니하다.

게이츠는 훗날 연설을 할 때마다 자신처럼 중간에 학업을 내팽개치지 말라고 당부하였다.

"당시에는 그래도 되었다."고 게이츠는 말했다. "하지만 모든 것이 더 복잡해진 오늘날에는 그것이 통하지 않을 것이다."


이 사람은 너드에서 평범한 인간으로 변했을까?

 

이들을 너드라는 말 속에 가두지 말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