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기이한 사례 ㅣ 창비세계문학 19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음, 송승철 옮김 / 창비 / 2013년 10월
평점 :
너무도 유명해서 스토리를 알고 보아야 하는 책이다. 어렸을 적부터 책으로 영화로 뮤지컬로 심지어 이 작품을 패러디한 것들까지 문학에서부터 영화,연극,뮤지컬 뿐만 아니라 심리학에서도 흔히 등장하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의 이야기는 그래서 안 읽어도 될 것 같은 소설이었다. 그렇지만 그게 다 일까? 이 작품이 이렇게 오랜 시간이 지나 시대성도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읽히고 다시 만들어 지고 있는 걸까?
우리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가 한 인물이라는 걸, 지킬 박사가 하이드 씨를 자신의 몸에서 분리시켜 냈다는 걸 이미 알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의 주제가 마음속의 악을 잘 다스려 착하게 살자라고 생각하고 있다. 물론 이 말도 맞는 말이다.
이제는 이 책에서 다른 것을 읽어내 보려고 한다.
이 책의 등장인물의 이름은 무덤덤하고 흔한 이름이 아니다. 하이드(숨기다)라는 인물을 만들어 낸 박사의 이름은 지킬(죽이다)이다. 결국 지킬박사는 자살을 한다.
작가인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이 이 책을 낸 때는 빅토리아시대이다.
19세기 영국의 영광이 가득하던 그때는 그 영광 뒤에 사회 하층민과 약소국의 희생이 있었다.그래서 흔히 빛과 어둠의 시대라고 부른다. 영광의 이면에 잔혹한 착취를 숨긴 그 시대는 인간의 도덕성 또한 그렇게 그늘진 모습일 수 밖에 없었다.
이 책에서 표현되는 하이드의 모습에서 지킬의 내면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도덕성뒤에 숨은 잔혹한 인간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하이드는 여자아이를 지그시 밟고 지나간 뒤 그 아이의 부모에게 노동자의 1년치 임금을 지불하게 된다거나 지킬박사는 젊어서 쾌락에 탐닉하는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거나 오만한 욕망을 어찌할 수 없었다거나 하이드가 협박자의 집으로 들어갔다거나하는 표현들은 당시 성적표현이 자유롭지 못했던 분위기를 보았을 때 아마도 정도가 훨씬 심각한 성적인 문제가 있었던 듯 하다.
체면과 이미지를 중시하는 지킬박사는 죄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욕망을 제어하지 못하고 남들 모르게 할 수 있다면 그 것을 즐기리라 생각하고 말았던 것이다.
이렇게 합리적 의식의 이면에 잠복해 있는 심리적인 혼돈,감정적 황폐함,원초적 충동에 굴복하고 마는 인간의 모습을 우리는 이 소설에서 보게 된다. 지킬이 금욕의 형벌 속에서 쓰라린 고통을 겪는다고 한 표현에서 선량한 자아를 선택했지만 그것을 고수할 역량이 부족함을 알게 된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의 기이한 사례는 짧은 단편이다. 이 책에는 작가의 다른 오싹한 단편이 두 편 더 들어있다. 함께 읽어보기에 좋은 작품들을 묶어 놓았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더욱 좋았던 것은 맨 뒤에 있는 작품해설이었다.
아는 내용이 더 어렵다고 무엇을 읽어야 할지 모르는 독자에게 번뜩이는 혜안을 안겨준 것처럼 반가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