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여행자들 오늘의 젊은 작가 3
윤고은 지음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남편은 "1박 2일"을 극도로 싫어한다.이유는 딱 하나밖에 없다.그것은 1박 2일을 더 유명하게 했던 복불복게임과 멤버들이 외치는 "나만 아니면 돼"라는 말 때문이다. 무책임해도 이렇게 무책임할 수가 없다는 게 남편의 생각이다. 어쩌면 다른 이의 불행을 "나만 아니면 돼"라는 말로 희화화시켜버리고 웃음거리고 만드느냐는 것이다. 난 뭐 그렇게까지 반응하느냐 다 웃자고 하는 건데 하면서 몰래 재미있게 봤다.


이번에 윤고은 작가의 <밤의 여행자들>을 읽으면서 자꾸 그 일이 떠올랐다.


재난여행이라는 상품을 취급하는 여행사 정글의 수석프로그래머인 요나는 10년차가 되었지만 점차 회사에서 구석자리로 밀려난다.그런 와중에 밀려나지 않기 위해 어쩌면 새로운 도약을 위해 선택한 무이행. 그 여행에서 그녀는 직장에서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원주민의 목숨까지 위태로운 기획된 인공재난을 체험하는 여행프로그램의 음모에 빠지게 된다. 자연재해를 가장한 인공적인 싱크홀만들기! 


이 책의 소재로 쓰인 '재난여행'

아마 그것은 어쩌면 우리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리고 형태의 차이는 있지만 흔히 겪을 수 있는 일이었지 싶다.

가난한 나라로 돈을 내고 가는 해외봉사활동을 한 뒤에 우리나라가 얼마나 좋은지 그리고 자신이 얼마나 행운아인지 알았다는 사람들의 이야기, 이웃나라의 자연재해에 우리나라가 아니어서 얼마나 다행이냐고 안도하면서 했던 말들. 또한 다른 이의 추락을 보면서 내가 아니라서 다행이고 그로 인해 경쟁자가 줄어서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현실.

이 모든 것이 재난여행의 다른 모습일 거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작가는 재난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반응과 느낌을 이야기 한다.

 

재난 여행을 떠남으로써 사람들이 느끼는 반응은 크게 '충격→동정과 연민 혹은 불편함→내 삶에 대한 감사→책임감과 교훈 혹은 이 상황에서도 나는 살아남았다는 우월감'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어느 단계까지 마음이 움직이느냐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결국 이 모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재난에 대한 두려움과 동시에 나는 지금 살아 있다는 확신이었다. 그러니까 재난 가까이 갔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안전했다,는 이기적인 위안 말이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하는 말처럼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과 우리의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싱크홀 때문에 죽는 사람도 있지만,싱크홀 때문에 사는 사람도 있다는 걸 말입니다.그리고 사는 사람이 죽는 사람들보다 훨신 많죠.

그러니까 이건 구명보트 같은 거라고,그는 말했다. 모두 공평하기 위해서 침몰하는 배 위에 머무를 수는 없는 일 아닌가,살 사람은 살아야 하지 않겠는가. 그래서 흔한 음모론의 줄거리처럼,그들은 다수를 위해 소수를 포기하기로 했다. 감자의 싹을 도려내듯,살 속의 탄환을 빼내듯,남아 있는 것들을 위해 포기해야 할 것들.그렇지만 누가 소수가 되려고 하겠는가.

 

사람들은 과거형이 된 재난 앞에서 한없이 반듯해지고 용감해진다.그러나현재형 재난 앞에서는 조금 다르다. 이것이 재난임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해도 방관하거나,인식하면서도 조장한다.지금 벌어지고 있는 싱크홀은 저편 사막이 아니라,보이지 않는 곳에 있었다.

 

나는 주인공 요나의 선택에 마음이 편할 수가 없었다. 다른이의 불행에 눈감고,나만 아니면 돼 하는 심정을 갖고 오히려 그 불행에 나의 존재가 무사함을 한도하며 감사했던 그 이기적인 모습이 다름 아닌 나의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여행이라는 낭만적이고 아름다운 소재에 부조리한 인간의 잔혹한 실체를 버무려 우리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이 소설은 어느 날 밤 다소 오싹한 여행이 되더라도 진실한 나의 모습을 만나는 멋진 여행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