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마주치다 - 옛 시와 옛 그림, 그리고 꽃, 2014 세종도서 선정 도서
기태완 지음 / 푸른지식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책을 펴자마자 읽어버려야 그 재미가 느껴지는 책이 있고 한 페이지 한 장씩 천천히 음미하면서 읽어야 제맛이 느껴지는 책이 있는 듯 하다.
이번에 만난 <꽃,마주치다>라는 책은 한 장,한 장 천천히 읽으면서 책에 나오는 시도 소리내어 읽어보고 사진도 감상하고 그림도 천천히 쳐다보며 읽어야 할 책이었다.
부제로 붙어있는 옛시와 옛그림과 꽃이 들어있는 이 책을 그렇게 조금씩 조금씩 읽어내려갔다.


어려서 시골에 살았음에도 꽃과 나무에 대해서 영 관심도 없고 관심이 없으니 아는 것도 없이 그렇게 어른이 되었다. 삶에 지쳐갈 때 쯤 집 주변에 피고 지는 꽃과 나무에 눈길이 가기 시작했고 가슴에 차오르는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었다.
식물도감을 끼고 꽃과 나무를 알기 위해서 다녀보기도 하고 사진도 찍어보기도 하면서 내 주변에 있는 꽃과 친해지기 시작하다보니 남들은 그냥 지나치는 꽃에 대해서 그 뒷 이야기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왜 그런 이름을 달고 살게 되었는지 지난 세월속에서 어떤 대접을 받고 살았는지 마치 사람의 과거가 궁금하듯 꽃과 나무들의 역사가 궁금해졌다.
이 책은 그런 꽃과 나무의 역사에 옛사람들이 어떻게 이들을 가까이 하며서 즐겼는지 시와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여름의 길가에 부드러운 분홍빛의 안개처럼 꽃을 피우는 자귀나무는 부부의 금실을 나타낸다.이 나무의 잎은 긴 줄기에 짝수로 나 있는데 밤이 되면 서로 합쳐지고 낮에는 부채처럼 활짝 펴진다. 이러한 특징때문에 합환화라고도 불리운다.
이 책에 나오는 최기남의 시에서 보면 합환화나 의남초의 약효가 무용지물이다. 그저 여인의 한을 풀어줄 수 있는 것은 낭군뿐이다. 


'양반꽃'이었던 능소화라는 나무다. 요즘에는 많이 볼 수 있지만 예전에는 귀해서 양반들만이 키울 수 있었나보다.
우리의 눈길을 확 잡아끌 정도로 화려한 빛깔을 뽐내는 이 능소화가 필 때면 그 꽃을 같이 구경하는 사람에게 이런 재미있는 일화를 전해주는 것도 꽃을 감상하는 재미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파초! 이것이 바나나나무란다. 그저 열대의 한 나무인 줄 알았는데 열매가 열리지 않는 바나나나무의 한 종류라고 한다. 이 파초의 생김새가 특이하고 아름다워 그림의 소재가 많이 되었나 보다. 이덕무는 이 파초잎에 글씨연습을 하기도 했고 김홍도,정조대왕도 이 파초잎을 그리기를 즐겼다고 하니 선비님들의 고상한 취미생활의 한 부분을 차지했던 파초를 지금은 어디서나 볼 수 있어서 다행이다.


계관화! 맨드라미의 한자어다. 그 꽃 모양이 마치 닭의 벼슬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신사임당이 그렸다는 <초충도>에 보면 맨드라미와 나비가 그려져 있다. 

이 책에서는 철쭉,인동초,앵두,등나무,수국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의 사진과 꽃에 얽힌 이야기,옛시와 그림이 있어 이들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마지막 양귀비의 열매라고 하는 여지는 사진도 그림도 들어있지 않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