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바를 춤추게 하는 글쓰기 - 이윤기가 말하는 쓰고 옮긴다는 것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이윤기가 말하는 글쓰기,번역,우리말 사용


책을 읽으면서 번역가가 누구인가 눈여겨 본 적이 많지 않았다. 그저 유명한 작가의 책이라면 출판사 번역가 상관없이 읽어댔다. 그러다가 읽어가는 책의 양이 많아지고 책에 대해 조금은 지식이 쌓이면서 번역가와 출판사를 눈여겨 보게 되었다.

 

그렇지만 아무런 지식없이 무턱대고 읽었던 시기에 재미있었던 책들의 출판사와 번역가는 출판계에서도 유명한 그 곳과 그 들이었다.

그 중에서 (이 분의 번역을 두고 말이 많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되었지만) 이윤기님이 번역하신 <그리스인 조르바>를 들 수 있다. 운이 좋게도 이 분이 번역하신 책을 읽었고 그 속에 생생하게 살아움직이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렇게 강렬하고 멋진 캐릭터를 만나기는 힘들다 싶은 인물인 조르바는 이윤기님의 번역덕분에 생명력이 부여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가 말하는 글쓰기

 

"멋있게 보이고 싶다면 제 생각을 비틀지 마라"

 

생각나는 대로,말하고 싶은 대로 쓰면 초단은 된단다. 그렇지만 유식해 보이고 싶어서 폼나는 어휘를 고르고,멋있어 보이고 싶어서 제 생각을 비틀다 제글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는 생각을 놓쳐버리기 쉽다.


멋있어 보이고 싶어서 유명한 분들의 글을 베끼기도 하고 평소에 잘 쓰지 않는 단어를 가져와서 쓰기도 했던 것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끼는 부분이었다. 


그가 권하는 글쓰기는 "구어체로 글쓰기"였다. 


그가 말하는 번역


"번역할 때 말의 무게를 단다고 생각하라"


모든 것은 번역에서 시작한다. 문화는 옮겨지지 않으면 확산되지 못한다. 그래서 번역가의 역할은 중요하다. 분명 번역가는 오독과 오역의 숙명을 지고 있기는 하지만 저울의 한쪽에는 저자의 말을 얹고 한쪽에는 번역어를 올려 놓는 일을 하고 있다. 그 말의 무게가 같아지도록 하는 것이 번역가의 일이다.


그가 말하는 우리말 사용


"유행하는 언어에도 보석같은 말이 무수히 반짝인다"


그는 우선 프라자,패미리,크리닉같은 일본식 표기법에서 벗어나길 주장하고 있다. 이 단어들은 플라자,패밀리,클리닉이라고 표기해야 한다. 

문법에 맞게 정확한 단어를 고집할 것 같은 그는 의외로 벙개,꾸벅,뿌듯, 이렇게 표현되는 인터넷의 용어에 관대하다. 이렇게 유행하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느낌에 공감하면서 이 말들이 살아남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단출하다는 의미의 속닥하다라는 단어를 포기하지 못하는 꼬장꼬장함도 가지고 있어서 웃음이 빙그레 나왔다.


결국 우리 말의 사용은 소통을 원하는가,과시를 원하는가이지 않을까?


이윤기님도 고백하였듯이 글쓰기는 암담하지만 글 읽기에 관한 한 지금 이 시각에도 술이 익어가고 체장수는 돌아다닌다.

내 손 닿는 곳에 책이 있고 내가 그 책을 읽을 시간이 있다면 글쓰기는 어찌 되었든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