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세스 바리 - 제2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박정윤 지음 / 다산책방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해전 최명희의 혼불을 읽고 한참동안을 책에서 빠져나오지 못해서 힘들었던 적이 있었다.그 세밀한 묘사에 여성적이고 감성적인 서사에 끌려서 오래도록 그 이야기속을 헤매고 있었다. 그리고 혼불문학상 수상이라는 말에 끌려 이 책을 만났다. 제목이 주는 하이틴로맨스같은 느낌의 거부감을 뒤로 하고 오로지 혼불문학상수상이라는 것에 과감한 선택이었다. 

 책을 손에 쥔 순간 이야기속으로 끌려들어가듯 읽어내려갔다. 지루하지 않고 흐르는 이야기와 개성이 강한 등장인물들의 매력에 기어이 다 읽고 나서야 잠을 청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사람이라면 누구나 익히 들어서 알고 있을 바리데기 신화를 차용해서 만든 이야기지만 바리데기 설화와는 사뭇 다르다.

 바리데기는 일곱번째 따로 태어나 버려졌지만 아버지를 살리기 위해 생명수를 구해 온다는 설화속 인물이다. 

 이 소설속 바리는 산파의 욕심과 연탄공장 사장부인의 아들욕심에 의해 버려진 아이이다. 산파는 아들을 낳지 못해 이혼을 당한 여자로 약초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산파역을 하면서 자신이 낳지 못하는 아이에 대한 욕심을 가진다. 그러다보니 이 일곱번째 아이를 가져오기로 결심한다. 해서 "일곱째는 신탁을 받은 아이야. 엄마 숨을 거머쥐고 태어났어. 이생에 연이 없는데 엄마 욕심에 애를 끌어당긴거야."라고 하며 "신탁을 받은 아이는 위험해.엄마는 아기에게 진 빚을 호되게 갚으며 살게 될 거야. 호적에 올리지 말고 내다버려. 한 달만 끼고 있어도 집안이 기울거야. 아빠가 앓아 눕고 연탄공장이 망하거나 끝장을 보던가. 엄마가 나자빠지던가. 불쌍한 우리엄마." 이렇게 말하며 결국 아이를 데리고 멀리 인천으로 떠난다. 어쨋든 산파의 욕심과 아들을 낳지 못한 여인의 불안에 의해서 버려진 아이가 된 바리는 오로지 자신의 것으로만 데리고 있으려는 산파에 의해 출생신고도 되지 못해 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을 배우지 못한 채 산파의 친구 토끼와 함께 생활하게 된다. 

 소설 속 바리는 삶에 힘든 사람들이 세상을 떠나고 싶을 때 죽음으로 인도해 주는 사람이다. 산파에게서 배운 약초에 대한 지식으로 죽어가는 사람들이 죽음에 편하게 이를 수 있도록 인도해 준다. 그녀는 산파와 청하사 할머니, 그리고 인천 집장촌 옐로하우스에서 일하는 연슬언니를 죽음으로 인도해준다. 그렇지만 거기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다가 돈을 받도 하얀 대문집 할아버지를 죽음으로 인도해주게 된다.

 

 바리가 살고 있는 곳에 사는 사람들은 세상에서 조금씩은 빗겨나 있다. 주류도 아니고 흔히 만날 수 있는 직업을 가진 이들도 아니다. 굴뚝을 청소하는 바리를 사랑하고 바리와 결혼하게 되는 청하, 어릴때 참깨자루에 넣어져 한국으로 밀항한 나나진, 옐로하우스에서 일하는 여자들의 임신중절을 도와주는 산파할머니 등. 모두들 이런 저런 형태로 버려진 인물들이다. 이들은 서로 의지하기도 하고 끌어주기도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바리가 사는 삶은 버려진 속에서도 사랑을 찾고 사랑을 일구는 삶이지만 그 사랑을 잃게 된다. 사랑하는 청하의 죽음.

 가슴아프게 읽히는 부분이다. 행복한 결말이었으면 좋겠지만 우리의 삶이 그러하듯이 힘든 사람들은 더 힘들게 살아가고 희망을 빼앗기고 있다. 바리는 죽음이 얼마남지 않은 괴로워 하는 토끼할머니를 죽음으로 인도하고 청하의 아이를 데리고 다시 돌아오려고 한다.

 

 바리가 울음을 참고 다시 돌아오듯이 우리 또한 삶의 질곡을 견디고 또한 삶의 현장에 발을 딛고 서 살아가고 있다. 

 읽는 내내 가슴이 묵직해졌다가 살포시 웃었다가 했다. 혼불문학상을 받을 만한 괜찮은 작품이다라는 생각을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