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은 배우는 게 아니다 - 작품으로 읽는 연암 박지원 산문.시편 작품으로 읽는 연암 박지원
주영숙 엮음 / 북치는마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암 박지원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아마도 다들 비슷한 시기였을 것이다.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 통해서 조선후기 정조 때 열하일기, 양반전 등을 썼던 북학파의 한사람정도로 우리는 외웠고 그의 작품을 국어 교과서에서 보고 자랐다. 그의 위대함은 단편적인 문장으로 표현되어 있기에 그저 암기하고 시험에서 틀리지 않기위해 작품집이름과 글을 읽었던 기억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양반전을 읽으면서 참 재미있게 썼다 하고 생각했던 기억과 일야구도하기(하룻밤에 강을 아홉번 건너기)라는 작품을 배우면서는 묘사를 강조하는 선생님의 말씀만 떠오른다.

 

 얼마전 <책만 보는 바보>라는 책을 통해서 박지원과 박제가 그리고 이덕무를 새롭게 알게 되었다. 그들이 역사교과서의 인물들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으로 내게 다가오는 계기가 된 책이었다. 

 이덕무보다 4살 위이지만 연암 박지원은 나이와 적서를 떠나 널리 맘에 맞는 친한 벗들을 가까이에 두고 교류했던 열린 마음을 가진 인물이었다. 

 이 책에서도 연암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는 구절들이 있다. 몸이 비대해서 여름을 견디기 어려워한다는 표현처럼 이덕무가 본 연암의 모습은 우람한 풍채에 얼굴빛이 불그레한 사람으로 성미가 급하고 흥분하기를 잘하며, 못마땅하고 싫은 사람앞에서는 억지로라도 좋은 얼굴빛을 꾸미지 못하는 점이 있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글의 감상적이며 자유분방함이 언뜻 이해가 되기도 하고 글이 살아있는 듯 내게 다가오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는 굉장히 꼼꼼하고 섬세했던 듯하다. 그리고 새로운 것과 새로운 책을 보면 조선땅에 살아가는 백성들의 생활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했다고 한다. 

 

 그의 호 연암-제비바위-처럼 연암은 바위처럼 떡 벌어진 어깨를 가진 풍채좋은 사람이면서도 품은 이상은 제비처럼 날렵하고 아름다웠다고 한다. 

 

 정조가 '패관잡기가 유행하게 된 원인이 박지워느이 열하일기에 있다'고 말할 정도로 박지원의 문체는 "연암체"로 불리며 한 시대를 풍미하였고 오늘날에도 그의 글쓰기는 본받을 만한 것이라고들 한다. 

명쾌하고 논리적인 문장과 해학적인 표현이 두드러지는 그는 글쓰기에 대한 글도 제법 많은 듯 하다.

 

 이 책에 소개된 매력적인 글쓰기란?이란 부분에 나오는 연암의 글쓰기에 대한 글은 시대를 떠나 지금 읽어봐도 과연 하고 머리를 끄덕이게 한다. 

 박지원의 산문과 시를 잘 번역해 소개하면서 운치있는 그림을 함께 배치해 시의 격을 높인 점이 더욱 좋았던 이 책은 아마도 내 책장에서 자주 뽑아져 나와 읽히게 될 듯하다.

 

 연암 박지원의 책이 200년이 지난 지금 읽어도 어색하거나 고루하지 않은 이유는 무얼까? <눈물은 배우는 게 아니다>라는 감상적인 이 책의 제목이 박지원이 가진 천재적인 부문과 함께 감성적이고 열정을 가진 인물임을 보여주는 것 같아 좋은 선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조금은 연암 박지원에 대해서 알았으니 이번 겨울에는 <열하일기>에 도전해 봐야겠다.

 

'글이란 뜻을 그려내는 것이다.

 제목을 앞에 놓고 붓을 쥔 채 갑자기 옛말을 떠올린다거나,'경서'의 뜻을 찾아내어서라도 일부러 근엄한 척하고 글자마다 장중하게 꾸민다 치자. 그러면 화가에게 자기 초상을 그리라 해놓고 모습을 가다듬는 것이나 다름없다.

시선은 떡 조정시켜놓은 데다가 옷차림 또한 주름 하나 없이 매끈하게 다듬어놓아서 보통 때의 모습이 온데간데없어지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아무리 훌륭한 화가여도 그 참모습이 그려지지 않는다. 글짓기 그것이 어찌 그리기와 다르겠는가' p.1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